6.25 전쟁 이래 처음 일어난 국토 피격은 대한민국 안보 개념을 뿌리째 흔드는 사건이었다. 지난 29일 이명박 대통령은 담화문을 통해 “앞으로 북의 도발에는 반드시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는 단호한 메시지를 전했지만, 충격은 좀처럼 가시지 않는다.

사태를 바라보는 예비역 장성의 마음도 착잡하긴 마찬가지일 터. <천지일보>는 예비역 장성들과 영관장교의 진단을 통해 우리 측 대응 방식을 분석하고 앞으로 추구해야 할 대북정책의 방향을 가늠해봤다.

성명 나열: 가나다순
권안도 원광대 초빙교수
-(전 국방부 정책실장・예비역 중장)
김충배 (사) 평화통일 국민포럼 대표 이사
-(전 한국국방연구원장・예비역 중장)
박희도 대한민국지키기 불교도총연합 상임공동회장
-(전 육군참모총장・예비역 대장)
이석복 한국문화안보연구원장
-(전 한미연합사 부 참모장・예비역 소장)
장순휘 협성대・중앙대 외래교수
-(전 군사편찬연구소 연구원・예비역 중령)

4) 남북관계와 관련해 정부는 중국과 어떤 외교지형을 구축해야 할까요?

권 교수 - 한반도 문제는 주변 4강인 미‧일‧중‧러, 나아가서는 유엔까지 같이 나서서 풀어나가야 한다고 봅니다. 이번엔 범법행위가 명확하게 드러난 이상 이러한 사실을 국제사회에 명백하게 알려야 합니다.

이 기회에 주변국에 ‘한반도가 불안정하면 동북아가 불안정하고, 동북아가 화약고가 되면 세계의 안정과 평화를 깨질 것’이라는 논리로 북한의 도발을 멈추기 위한 협력관계를 공고히 다져야 합니다.

박 회장 - 외교적인 문제는 이차적 평가고, 일차적 문제는 대통령과 김정일 두 사람의 관계이기 때문에 이 대통령이 분명한 의지를 보여줘야 합니다. 우리의 의지가 먼저 서야 할 것입니다.

이 원장 - 대중국 외교력에 힘을 실어야 할 때입니다. 국민이 힘을 합쳐 중국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운동을 전개하고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장 교수 - 강온양면전략으로 중국과의 외교전을 펼쳐야 합니다. 중국과 북한의 조・중 동맹 관계를 인정하되 경제적인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한 실리외교를 추구해야 합니다. 강경하게 나서서 중국에 등을 돌린다면 얻는 게 별로 없을 겁니다. 주변국의 온건한 정책책임자들의 입지를 살릴 수 있는 정책적인 유연함이 있어야 합니다.

정리: 송범석 기자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