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타워크레인 붕괴사고로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난 5년간 사망자만 40여명, 올해만 벌써 16명째다. 지난 5월에는 경남 거제에서 타워크레인 충돌사고로 6명이 숨지고 25명이 다쳤다. 이유는 신호체계 혼란 때문이었다. 같은 달 경기도 남양주의 아파트 신축공사장 크레인이 쓰러지면서 1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 지난 10월에는 의정부 아파트 신축공사장 타워크레인 전도로 3명이 숨졌다. 이유는 27년 된 노후장비 탓이었다.

연이은 타워크레인 사고에 청와대까지 나서서 지난달에 타워크레인 전수조사와 점검강화, 사고업체 영업정지 등을 담은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결과는 9일에만 용인과 인천에서 2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용인의 경우 크레인을 높이는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지난 5월 남양주, 10월 의정부 사고와 판박이다. 주요 사망사고 원인은 노후장비다. 그러나 좀 더 살펴보면 관리감독 부재와 단기간 설치와 해체를 요구하는 현장분위기가 위험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크레인 전문가들은 공사장 크레인 설치와 철거에 전문가가 반드시 감시하도록 하는 법적 보완장치가 필요하다고 한다. 또 크레인 사용연한을 정해서 일정 기간 이후에는 정확한 정비결과가 없으면 사용을 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도 한다.  

청와대의 종합대책 후에도 타워크레인 붕괴사고가 발생됐다는 것은 현장에는 정부대책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러나 한계만 탓하고 핑계 댄다는 건 국민을 지켜야 할 정부로서는 무책임한 처사다. 얼마 전 빚어진 영흥도 낚싯배 전복사고도, 신고 후 2시간이 지나서야 도착하는 해경의 현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세월호 이후 대책만 그럴듯하게 세웠을 뿐 현장의 장비와 시스템은 별 변화가 없었던 탓이다. 생명보다 귀한 것이 없다고 말만 할 뿐 현장을 바꾸지 못하는 대책은 공염불이 될 뿐이란 걸 이번 타워크레인 사태는 다시 보여주고 있다.

끝나지 않는 각종 사망사고 뒤에는 안일한 실무자와 지도부, 그리고 여론이 눈을 줄 때만 반짝하는 정부가 있다는 것이 다시 한번 입증된 셈이다. 타워크레인 붕괴사고 등 각종 재해 방지를 위해선 그럴듯한 시스템만 필요한 게 아니다. 그 바탕에 진정성 있는 재발방지 의지와 지도자들의 사명감이 있을 때 모든 대책도 빛을 발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