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3일부터 3일간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지난 7월 독일 G20정상회의와 지난달 베트남 APEC정상회담 이후 이번이 한중 정상 간 세 번째 만남이다. 정상회담이 결정되고서 양국 간 외교라인에서 합의된 내용 등을 살펴볼 때 지난번 정상회담이나 과거 어느 때의 만남보다 성과가 어려울 거로 예측되는 것은 양국 정상들의 회담 개최 직후 그 결과에 대한 공동성명이 없고, 공동기자회견마저 없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그동안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를 두고 적극적으로 반대해왔던 중국이 우리 정부의 숱한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제, 관광 등 분야에서 알게 모르게 대한(對韓) 압박을 가해온 입장이다. 최근에야 중국의 분위기가 다소 누그러져 한중정상회담 개최 등에 합의했지만 양국 갈등이 완전 해소된 것은 아닌 상태로 있다. 청와대에서는 “사드 문제가 봉인됐다”는 입장이지만 중국 왕이 외교부장이 문재인 정부가 “사드를 추가 배치하지 않고, 미국 미사일방어체계에 가입하지 않으며, 한미일 군사동맹이 없다”는 3불(不) 카드를 대외적으로 표명했다고 공개 거론하는 등 여전히 사드 문제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중국을 국빈 방문하게 되는 문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확대 및 소규모 정상회담을 한 후 중국정부와 경제계 인사와도 회동을 가지게 되지만 어려운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문 대통령이 정상회담이나 방문 기간 중에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할 점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양국의 협력 다짐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 전제에서 양국 정상이 신뢰하고 폭넓게 이해가 돼야 양국 갈등의 근원이 되고 있는 사드문제가 순조롭게 풀릴 것이고, 그 다음 현안인 경제협력, 관광 활성화 등 잘 해결될 것이다.

올해로 한·중 수교는 25년을 맞이했다. 그동안 한중관계는 경제밀월시대라 할 만큼 우리 상품들이 중국으로 수출됐고, 한류열풍에 중국의 반응이 뜨거웠다. 그러나 지난해 불거진 사드 문제로 양국 간 갈등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번의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과의 정상회담은 매우 중차대하고 함의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23년 만에 공동성명조차 채택하지 못하는 상황이 됐긴 해도 한중정상회담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이끌어내는 반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