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를 비롯해 광주, 수원 등에 위치한 군(軍)공항은 오래전부터 민원(民怨)을 야기해왔다. 당초에는 시 외곽에 입지한 군 공항이었지만 도시화·산업화의 급진전으로 도심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인근 주민들은 우리의 안보현실에서 일정 불편은 당연하다고 느껴왔었어도 전투기 소음 때문에 생활권. 교육권에 막대한 침해를 받고 있음은 사실이다. 인근주민들은 전투기 훈련 출격이 있을 때 발생되는 소음이 일상적인 대화마저 불가능한 정도였으니 그동안 다수 주민들이 느껴온 정신적·신체적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에서는 지난 2014년 11월 29일 ‘軍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군 공항이전법)’을 제정해 도심의 군 군항 이전과 이전부지 주변지역 주민의 복리 증진을 도모해오고 있다. 하지만 군 공항 이전은 군사전략상이나 국민 입장 등 고려할 변수들이 워낙 많은 사업이고, 또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지라 지금까지 지지부진한 채 해당지역 주민들은 많은 심적 고통과 함께 경제적 불리 속에서 지내왔던 것인데, 지난 11일 박근혜 대통령의 대구 군 공항과 민간공항 통합 이전 지시로 인해 대구 군 공항 이전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밀양공항이 취소된 데 따른 보상책이라고도 한다.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이라 할 수 있는 대구지역의 허물어진 민심을 추스르기 위해 취해진 조치라고 하지만 사실 대구 군 공항으로 인해 이 지역 주민들은 지난 50~60년 가까이 불편을 감수해왔을 뿐더러 고도제한에 묶여 재산권 행사에도 불이익을 받아오는 등 피해가 많았다. 그런 사정이고 보면 대구뿐만이 아니라 광주, 수원 등 해당지역 주민들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대표적인 민생문제라 할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정부에서는 적극성을 가지고 동시에 이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

대구공항의 통합이전은 군사전략적 차원에서 보탬이 되고 대구·경북지역 전체의 경제발전 효과를 거양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 관련 계획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대구공항의 통합이전 계획은 향후 13년이 소요되고 총사업비 7조 5000억원이 들어갈 예상이다. 기존의 부지 개발로 건설비가 충당될 계획이어서 전적으로 정부예산만으로 추진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더라도 공군기지 이전에는 국비가 들어가야 해결될 수 있는 바, 차제에 정부에서는 대구를 비롯해 도심 군 공항 문제로 민원이 지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는 광주, 수원 지역에 대해서도 주민불편 해소와 국토의 효율적 이용 차원에서 동시 계획을 세워 해결해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