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철수했던 비무장지대(DMZ) 안의 최전방 감시초소(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군 당국이 북한이 동부지역에서 GP를 복원하고 중화기를 반입하는 모습을 카메라와 열상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하면서 드러났다. 군 관계자는 “예전 GP를 파괴하기 전에 경계초소(감시소)가 있었는데 그것을 만드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북한의 이러한 행동은 지난 23일 군사합의서 전면 파기를 주장한 뒤 최전방 지역의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려는 의도로 보인다. GP 재무장은 이미 예상됐던 일이다.

북한은 2018년 9.19 합의 이후 같은 해 11월 20일 비무장지대 내 GP 11곳 중 10곳을 파괴했다. 남측도 합의에 따라 10곳 GP를 파괴했다. 남측과 북측은 GP 1곳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북한은 군사합의서 파기를 한·미 연합훈련과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휴전선 일대에서 정찰·감시 활동을 재개한 우리 측 탓으로 돌리고 있다. 그러나 이는 어불성설이며 적반하장이다. 북한이 비밀리에 핵과 미사일 개발에 전력하고, 군사정찰위성까지 발사하는 등 긴장 조성의 원인을 스스로 제공했기 때문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018년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을 갖고 9.19 군사합의를 맺었다. 하지만 북한은 이듬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되자 수없이 미사일을 쏘아댔다. 북한은 수시로 포문을 개방하고 지난해 말엔 무인기를 서울에까지 보내는 등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지금까지 3000회 이상 합의를 위반했다고 한다.

북한이 9.19 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GP 재무장에 나선 것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한국 내 여야 대립이 극심한 상황에서 안보 불안 심리를 증폭시키려는 속셈일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각종 미사일 발사와 정찰위성 발사가 이어질 수 있으며, 전술핵 실험도 할 수 있다.

우리도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대화를 모색하되 북한군의 움직임에 비례하는 대응을 해야 한다. 특히 미국과의 공조를 통해 물 샐 틈 없는 감시 및 경계 태세가 필요하다. 동시에 외교 채널을 총동원해 북한의 군사행동을 억제하는 국제 협력 관계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안보에서는 결코 양보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야 할 때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