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천지일보 2023.08.24.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천지일보 2023.08.24.

[천지일보=손지하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4일 기준금리를 연 3.50%로 다시 한번 동결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b,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와 1340원대로 높아진 원·달러 환율에도 중국 경기 부진이 우리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4일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0%로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올해 2월부터 4월, 5월, 7월에 이은 5연속 금리 동결이다. 미 연준이 지난달 말 정책금리를 5.25~5.50%로 인상한 만큼 양국의 금리 역전 폭은 사상 최대인 2.00%포인트(p)까지 벌어진 상태가 유지됐다.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한 것은 인상도 인하도 할 수 없는 불가피한 국면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한은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1.4%와 물가 상승률 전망치 3.5%를 모두 그대로 동결했다.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3%에서 2.2%로 0.1%p 낮췄다. 내년 물가 전망은 2.4%로 유지했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3%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점차 사라지면서 하반기에는 다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창용 총재도 연말엔 3% 안팎까지 다시 높아질 수 있다는 기존 예상을 철회하지 않았다.

최근 국제유가도 다시 오르면서 물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85달러 수준으로 연중 최고 수준이다.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7월 수입물가지수가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하고 7월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4개월 만에 반등했다. 국제유가가 수입물가, 생산자물가를 통해 소비자물가에 시차를 두고 영향을 준다.

가계부채도 큰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7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6조원 증가하면서 2021년 9월(6조 4000억원) 이후 2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미국 금리와 원·달러 환율도 변수다. 파월 의장의 연설에 따라 달러 강세가 나타날 수 있다.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공개된 이후 미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국의 중립금리가 높아지면서 고금리가 장기화한다면 우리로서는 물가가 하락하더라도 금리를 낮출 수 없는 부담을 안게 된다.

이 총재도 22일 국회에 출석해 “한미 금리 차가 굉장히 커지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고 혹시나 외환시장이 불안해질까 보고 있다”며 “미국 경제가 강해서 시장이 생각하는 것보다 금리를 더 올릴 경우엔 외환시장 영향을 보고 대처할 생각”이라고 우려를 전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