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오전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유람선 좌초 사고에서 이 배에 타고 있던 109명이 전원 구조됐다. 사고가 난 지 30분 만에 해경과 홍도 인근의 자율구조 어선들이 긴급동원돼 인명을 구조해 목포항으로 이송했다는 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그렇지 않아도 세월호 참사의 후유증이 큰 우리 현실에서 홍도 유람선 사고에서 행여 인명피해가 발생했더라면 어찌 됐을까 생각하면서 국민은 또 한 번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번 사고가 난 홍도는 전국에서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곳으로 해마다 수십만 명이 이곳을 찾아 유람선을 타고 홍도의 절경을 즐기고 있다. 그만큼 해상사고에 안전 점검도 절대적으로 필요한 지역인데, 사고 선박은 1987년 건조된 배로 지난해에 2023년까지 10년간 운항허가가 됐으니 선령 37년 낡은 배로 운항될 예정이었다. 이번 사고 최초 신고자 이모 씨에 의하면 당시 파도가 높은 상태에서 배가 기암괴석인 만물상에 가까이 접근하려고 했으며, 그 순간 굉음과 함께 바위에 좌초됐다고 하니 해경이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지만 이 역시 인재에 가까울 수 있다.

더구나 “사고가 나자 승객들이 구명조끼를 입으려고 꺼냈지만 입을 수가 없을 정도였다. 겨우 승객들이 서로 도와가며 입었다”는 말처럼 승선객은 사전에 구명조끼 착용도 하지 않았다. “사고 후 즉시 119에 전화를 걸었지만 통화하지 못했고 다시 112에 신고했지만 어디냐고만 계속 물었고 전화 감도가 떨어진다고 해 끊어 버렸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신고 접수체계에 구멍이 나 있음은 불안한 요소다. 세월호 사고 이후 해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예방 대책이 나온 가운데, 가장 기본인 신고 접수망 허점이 또다시 확인됐으니 대비책이 시급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