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우 작가 문화칼럼니스트

 
아득한 시절,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에는 성(姓)이란 게 없었다. 고대 중국에서는 왕이 먼저 성을 갖고, 지역의 특성 등을 따져 아랫것들에게도 성을 내렸다. 성을 가진 사람들은 지배계층이었다. 백 사람에게 성을 주었다 해서 백성(百姓)이라 했다. 그러니, 엄밀히 따지면 성이 없는 별 볼 일 없는 인간들은 백성이 아니었던 셈이다.

우리나라도 중국의 영향으로 성이 생겨났다. 고조선 시대에는 성이 없었지만 삼국시대로 넘어오면서 성이 생겨났다. 고구려의 고 씨, 백제의 부여 씨, 신라의 박, 석, 김 씨가 왕이 되면서 성이 생긴 것이다. 당시 왕과 귀족들은 자신들의 성이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 씨는 중국고대 제곡 고신(高莘) 씨의 후예로, 김 씨는 중국의 소호 금천(金川) 씨의 후손들이라 했다. 고려 태조도 씨족의 뿌리가 중국 당나라 숙종이라 했다. 조선시대는 말할 것도 없고 지금도 족보를 들먹이며 자신들의 뿌리가 중국이라고 주장 하는 집안이 많다.

고려 중기에 호적이 만들어지면서 거주지를 기록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본관이란 것도 생겼다. 나라에서도 귀족이나 양민은 성을 갖도록 장려하였고 다른 나라에서 귀화한 사람들에게 성이 내려지기도 했다. 성과 족보는 신분을 가르는 결정적인 기준이었다. 성과 족보를 가진 사람들은 행세를 하며 살았지만 천민들은 비참했다.

조선시대에도 양반들만 족보가 있었다. 절반에 가까운 노비들은 족보는커녕 성도 없었다. 이름도 개똥이 돌쇠 막둥이였다. 그러던 것이 세상이 바뀌어 누구나 성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 노비법이 없어지고 새 호적법이 생기면서 신분을 따지지 않고 누구나 성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성이 없던 사람들은 이왕이면 양반이나 권세 있는 집안 성을 가지려 했다. 조선왕조를 지배한 전주 이 씨를 비롯해 박 씨, 김 씨 등으로 호적에 많이 올렸다. 이 씨, 김 씨, 박 씨가 많은 것은 이 영향 탓도 있다. 성과 족보를 모두 가져야 양반 집안이라 행세할 수 있었기 때문에 너도나도 족보를 만들었다. 족보를 위조하여 없던 족보를 새로 만들기도 하였고 남의 족보에 얹혀 새로운 일가의 구성원이 되기도 하였다.

지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성이 있고 족보도 있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그중 절반가까이는 기껏 백 년여 전에 성을 가진 사람들이고, 족보들 상당수가 위조이거나 엉터리다. 족보 들먹이며 시조가 중국의 누구며 또 조상 누구누구가 무슨 벼슬을 했다고 하지만 그중 절반 이상이 엉터리인 셈이다. 그러니 집안 운운하며 함부로 거들먹거릴 일이 아니다.

성과 족보에 이어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게 주민등록번호다. 출생신고를 하면 자동으로 부여되고 같은 번호, 같은 인물이 없으니 나라에서 관리하기에도 그만이다. 돈 있고 권력 있다고 좋은 번호가 주어지는 것도 아니니, 공평하기도 하다.

하지만 게나 고둥이나 별 희한 곳에서 다 주민번호를 달라고 하니, 그게 문제다. 주민번호를 엿 바꿔 먹는 빈 병쯤으로 안다. 안 주면 안 된다고 하니, 주기 싫어도 준다. 줄 때마다 찜찜하지만, 할 수 없이 준다. 결국 터졌다.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하고 받아간 주민번호가 왕창 털렸다. 다른 정보도 뭉텅이로 털렸다.

은행이라고 하면 도둑 안 들어 안전할 줄 안다. 하지만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선진국에서는 보안은 은행에서 책임지지만, 우리는 고객이 알아서 챙겨야 한다. 카드사는 말할 것도 없다. 돈놀이에만 눈이 벌개져 있을 뿐, 보안 따위는 뒷전이다. 정신이 번쩍 나도록 세게 두들겨 주어야 한다. 고객보다, 보안보다, 돈을 먼저 생각하는 고약한 버릇을 확실하게 고쳐주어야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