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제 인천언론인클럽 회장 

not caption

경기 일산에 폐장난감류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환경교육, 전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영리 환경단체가 있다. 폐기처분 직전의 장난감과 가정에서 배출된 장난감을 모아 자원순환의 길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토이 리사이클’에 소매를 걷어붙이고 있다. 얼마 전 이 환경단체 주도로 열린 ‘무지개로 돌아온 내 장난감’이란 전시회를 가봤다.

전시장 한 곳에 원형 그대로이거나 해체된 형태의 플라스틱 폐장난감들이 형형색색 모양으로 쌓여있었다. 어린이와 부모들이 폐장난감 부품을 활용해 새로운 모델의 장난감을 만드는 체험 코너가 있었고, 장난감 수리 프로그램은 별도로 운영됐다. 버려진 장난감을 자신만의 독특한 새 장난감으로 탄생시켜 전시 작품으로 내놓게 되자 아이들이 뿌듯해하는 모습이었다.

버려지는 장난감이 한해 240만t에 달한다고 한다. 재활용 비율은 0%이고 대부분 쓰레기장에 직매립하거나 소각 처리된다고 한다. 복합플라스틱 폐기물이라 분해하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재활용 작업은 엄두도 낼 수 없는 상황이다. 버려진 장난감의 50~70%가 재활용될 수 있는데도 모두 폐기처분하고 있어 엄청난 유해물질을 배출하고 있다.

전국의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데이터를 검색해보니 수치상으로 봐도 우리의 자원재활용 수준은 한심했다. 국내 생활폐기물이 1인당 하루 0.86kg이고, 한 달이면 26kg이라고 한다. 전체 발생량 중 재활용 안 되는 종량제 방식의 혼합배출이 46%이고, 음식물류 폐기물이 29%인데 반해 재활용 자원은 26%였다.

환경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무엇보다 쓰레기 발생 자체를 최대한 줄이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코로나19로 택배와 배달음식 증가로 일회용품 사용도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이런 일상이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기에 당장 쓰레기를 줄이려는 사회적 목표부터 세워야 한다.

그러나 대통령선거와 이번 지방선거에서 빚어진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중단 논쟁은 이런 핵심과 동떨어진 정쟁으로 흐르거나 원론적 선언에 그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을 공약으로 밝혔으나 이를 실천할 대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작은 대통령실’ ‘책임 장관제’로 정부를 운영한다고 했으니 환경부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그간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광역매립지를 선정하지 못하면 기존 합의대로 수도권매립지 연장 사용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인천에서는 수도권매립 사용 중지를 전제로 서울, 경기지역에서도 자치구별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각자 처리해달라고 주문하고 있다. 이러기 위해선 대형 매립지에 의존하지 말고 쓰레기 감량과 재활용에 우선한 쓰레기 정책 실행이 필수다. 또 자체 매립지와 소각장을 설치할 계획이 선행적으로 마련돼야 한다. 그러나 이런 실천적 노력을 기울이는 지자체는 거의 없다. 그러니 수도권매립지 2025년 사용 중단 또는 연장 사용 불가피 논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럽 도시마다 쓰레기 재활용과 재사용을 위해 다양한 창조적 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런던, 스톡홀롬, 헬싱키 등지에선 하수 슬러지, 유기 폐기물에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거나 식량화하고 있다. 헬싱키의 경우 9개 주택단지 이상의 주거지에선 반드시 분리형 유기 폐기물 수거용기와 퇴비화시설을 두도록 하고 있다. 또 재활용품을 갖고 오면 녹색계정을 통해 현금 크레딧이나 쿠폰, 마일리지를 줘 시민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 환경도시로 유명한 브라질 꾸리찌바는 재활용쓰레기를 갖고 오면 과일과 곡식을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나눠주고 학생들에게 재활용교육을 체계적으로 펼치는 녹색교환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국내 도시에서도 이같이 다양한 방식을 생활 속에서 실천해야 폐자원을 생산하는 쪽으로 투입하는 생태순환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야 폐장난감이 환경교육 소재로만 사용되지 않고 50~70%까지 재활용되는 길이 열릴 것이다. 오염과 자원 소비로 귀결되는 도시의 삶이 자원 순환형 시스템으로 바뀌지 않으면 지구 온난화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 재활용률을 끌어올리는 게 ‘기후 악당’ 국가의 오명에서 벗어나 ‘기후 정의’를 실천하는 첫걸음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