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올해 4분기부터 적용되는 전기요금을 인상한 23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전력계량기가 돌아가고 있다. 한전에 따르면 인상폭은 1kWh당 3.0원으로 월평균 350kWh를 사용하는 4인용 가구는 매달 1050원씩 오르게 된다. 이번 인상은 지난 2013년 11월 이후 약 8년 만이다.  ⓒ천지일보 2021.9.23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올해 4분기부터 적용되는 전기요금을 인상한 23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전력계량기가 돌아가고 있다. 한전에 따르면 인상폭은 1kWh당 3.0원으로 월평균 350kWh를 사용하는 4인용 가구는 매달 1050원씩 오르게 된다. 이번 인상은 지난 2013년 11월 이후 약 8년 만이다.  ⓒ천지일보 2021.9.23

정부 물가상승률 목표 1.8% 실패 유력

올해 10년 만의 최고치 가능성도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전기요금과 우윳값 인상에 이어 가스요금, 대중교통 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의 줄인상 가능성이 나와 물가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하반기 연쇄적인 요금 상승이 이어진다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정부 목표인 1.8%를 훌쩍 넘어서는 것은 물론,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6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물가는 1년 전보다 2.6% 올라 5개월째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내내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던 농축수산물은 오름세가 소폭 진정됐으나 여전히 상승률이 7.8%로 높은 편이다.

유가 상승으로 점점 오름폭을 키운 공업제품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인 3.2%를 나타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소비 위축이 개선되면서 외식 등 개인서비스는 2.7% 올랐다.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등 세 품목은 올해 물가 상승을 견인해왔으며 9월 이후 물가 상승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작아 전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역할을 해온 전기·수도·가스, 공공서비스 등 다른 품목도 들썩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일단 내달부터 전기료가 인상되고, 오는 11월에는 가스료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지하철·시내버스·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과 상하수도 요금, 종량제 봉투 요금 등 지방 공공요금도 인상 요인이 상당해 언제든 올릴 수 있도록 대기상태다.

8월 0.1%였던 전기·수도·가스, -0.7%였던 공공서비스가 연말 오름폭을 키울 여지가 상당한 것이다. 전기료, 우윳값 인상이 다른 품목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국민지원금 등의 소비 효과가 더해지면 전체적인 물가 상승세는 예상보다 더 거세질 전망이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4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동월 대비 0.3%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6.4% 상승했다. 장마에 따른 출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채소류가 16.3% 상승하며 농산물 가격이 4.9% 올랐다.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천지일보 2020.8.4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천지일보DB

여기에 지난해 9월에는 물가상승률이 1.0%였지만 10월 0.1%, 11월 0.6%, 12월 0.5% 등 0%대로 돌아갔던 것을 고려하면 기저효과로 인해 올해 4분기 물가상승률은 더 높아질 수 있다.

정부는 지난 6월 발표한 2021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물가상승률 목표를 1.8%로 제시했고,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연간 2% 이내’로 물가를 관리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상반기에 계속해서 물가가 2%대로 오르자 정부는 물가 오름세가 기저효과와 일시적 공급 충격에 따른 것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해소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은 7월과 8월 모두 연중 최고치인 2.6%를 기록했다. 5개월 연속 2% 상승률을 기록 중인 물가상승률은 9월에도 꺾이긴 어려워 사실상 9년 만에 최고기록을 달성할 것이 확실하다. 현재까진 2017년 1~5월 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공요금 인상과 기저효과 등을 고려하면 4분기에도 1%대로 내려가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기록적인 2%대의 물가상승률 행진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정부의 목표치인 1.8%는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없고, 2% 이내 관리도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국내외 기관들도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2%대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1.8%에서 2.1%로 올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8%에서 2.2%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1.8%에서 2.0%로 각각 상향했다.

연간 물가상승률이 2%대를 나타냈던 건 9년 전인 2012년(2.2%)이 마지막이다. 만약 올해 연간 상승률이 2.2%를 넘긴다면 2011년(4.0%) 이후 1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게 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