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국가보훈처, 광복회가 선정한 3월 독립운동가. (왼쪽부터: 한운석, 이인정, 송재만) (제공: 국사편찬위원회) ⓒ천지일보 2021.3.1
독립기념관, 국가보훈처, 광복회가 선정한 3월 독립운동가. (왼쪽부터: 한운석, 이인정, 송재만) (제공: 국사편찬위원회) ⓒ천지일보 2021.3.1

당진 대호지·정미 3.1운동 주요한 역할

관민이 하나 되어 참여한 만세운동

[천지일보 천안=박주환 기자] 독립기념관(관장 한시준)이 국가보훈처, 광복회와 공동으로 당진 대호지·정미 3.1운동을 이끌었던 독립운동가 이인정(1859~1934년)·송재만(1891~1951년)·한운석(1884~1950년) 선생을 2021년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고 공훈을 기리는 전시회를 개최한다.

전시회는 3월 한달간 독립기념관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제5·6관 통로)에서 당진 대호지·정미 3.1운동 참여자 경성복심법원 판결문 등 9점을 전시한다.

이인정(李寅正)·송재만(宋在萬)·한운석(韓雲錫)은 당진 대호지·정미 3.1운동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다. 당진 대호지·정미 3.1운동은 광무황제 국장(國葬)에 참여하고 돌아온 도호의숙(桃湖義塾) 출신의 대호지 유생들이 서울의 3.1운동을 전하고 대호지면에서의 독립운동을 구상하면서 시작됐다.

대호지면사무소 직원을 중심으로 준비가 진행되는 가운데, 세 선생은 독립만세운동을 준비하고 실무를 주도했다. 송재만은 ‘도로 보수를 위한 협조 요청’ 공문을 마을 구장(區長)에게 전달하고 마을 주민들이 시위장소로 모이도록 했다. 또 도호의숙 훈장 한운석에게 독립운동 취지를 설명하며 애국가 제작을 요청했다.

송재만의 제안을 받은 한운석은 독립운동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독립의지를 굳건히 하는 내용의 ‘애국가(愛國歌)’를 만들었다. 시위 당일인 4월 4일 대호지면사무소 앞에 마을 주민 4~500명이 결집했다.

면장 이인정은 마을 주민들에게 집합 이유가 사실 도로 수선이 아닌 독립운동을 위함이라 말하고 정미면 천의(天宜)장터로 나아가자고 연설한 후 “조선독립만세”를 소리 높혀 외치며 군중들을 지휘했다.

송재만은 전날 광목천 3척(尺)으로 제작한 태극기를 흔들며 이인정과 함께 약 7㎞ 정도 떨어진 정미면 천의장터를 향해 만세 행진을 이끌었다. 천의장터에 도착하자 장터에 모인 사람들도 합세해 1000여명의 군중이 독립만세를 외쳤다.

만세 군중들의 위세에 눌려 관망하던 일제 경찰은 오후가 되어 귀가하려는 민중들의 태극기 탈취를 시도했으며, 여기에 저항하는 군중들에게 당진 경찰서 순사 니미야(二宮)가 권총을 발포했다.

일제의 비인도적 탄압에 분노한 송재만·한운석 등은 일제 경찰에 강력히 저항했다. 일제 경찰은 다음날인 4월 5일부터 본격적으로 관련자를 탄압하거나 체포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이인정·송재만·한운석은 일경에 체포돼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2008년 대호지면사무소 전경. (제공: 독립기념관) ⓒ천지일보 2021.3.1
2008년 대호지면사무소 전경. (제공: 독립기념관) ⓒ천지일보 2021.3.1

당진 대호지·정미 3.1운동은 관민이 하나 되어 참여한 만세운동이자, 대호지면에서 정미면까지 지역을 넘어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뜻깊은 독립운동이었다. 정부는 당진 대호지·정미 3.1운동을 주도한 이인정·송재만·한운석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 애족장을 추서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