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 作

[천지일보=김지윤 기자] 가만히 눈을 감고 자유롭게 생각해 보자. 오늘 안에 해야 할 일을 빨리 끝내는 것처럼 지금 당장 할 수 있거나 공상에서만 가능한 일, 달나라에서 토끼와 악수하고 기념사진을 찍는 일처럼 낯설거나 익숙한 상황 등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을 것이다. 꿈 역시 현실과 비현실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꿈을 이야기하면서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을 인용하지 않지 않을 수 없다.

프로이트가 설명하는 꿈은 무의식이다. 그는 일찍이 여러 명의 성격을 표출하는 정신분열증이나 극심하게 예민 증상을 나타내는 신경증에서 무의식을 찾았다. 하지만 비정상인에게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정상인에게도 무의식 세계가 있다. 다만, 정상인들은 현실을 자각하고 사회 및 타인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양식이 많을 뿐이다.

프로이트는 자아의 도덕성이 가장 약화되는 시간이 수면을 취할 때라고 했다. 다시 말해 깨어있을 때 주로 의식이 사람을 지배한다면 무의식은 잘 때 찾아오는 또 다른 자아라는 것이다. 비로소 꿈을 통해 무의식이 표출된다.

고대인들은 꿈이 단지 수면 중 느끼는 감각에 대한 쓸모없는 잔상 반응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꿈을 꾼 사람이 하고 싶어 하는 바람과 숨겨진 진실을 담고 있고 이를 해석해야 할 대상으로 점지했다. 프로이트도 이와 동일한 의견을 펼쳤다. 그러나 고대의 해몽과 프로이트의 꿈 해석은 엄연히 다르다.

고대인은 꿈을 미래를 알리는 예언으로 봤으나 프로이트는 꿈을 서로 다른 사건과 대상에 대한 생각과 이미지의 복합물로 해석했다. 프로이트이가 말하는 꿈의 해석이 고대인의 해몽술보다 더 복잡한 셈이다.

프로이트는 꿈이 자기 전의 기억, 욕망, 억압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꿈을 해석하려면 꿈의 내용을 쪼개야 한다. 그래서 토막토막을 분석해 서로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연결하면 그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무엇을 원하고 어떠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이론이다.

<꿈의 해석>은 ‘자아’와 ‘이드’라는 유행어를 낳았다. 꿈을 통해 표현되는 생각이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자아에 동조하는 생각이고 나머지는 억압되고 무의식적 욕망, 즉 본능에 관한 것이다.

그렇다고 꿈에서 본능만이 장악하고 있지 않다. 때로는 억압된 욕망이 꿈에 보이지 않고 억압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꿈에서 펼쳐진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꿈의 해석으로 정신분열과 신경증 등 정신병에 대한 증상을 설명했다.

프로이트는 나름대로 자신의 신념을 갖고 꿈에 대한 이론을 펼쳤으나 정작 꿈의 원리를 검증할 수 없다는 이유로 비난을 받았다. 더욱이 정신과 의사라는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직업 때문에 신랄한 비판을 면치 못할 수도 있었을 수 있으리라. 시간이 점차 흐르면서 검증 가능성이 적은 이론은 세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로이트는 이전에 일상적인 ‘꿈’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장을 마련했다. 이후 꿈과 심리에 대한 학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이러한 결과만 보더라도 프로이트는 꿈의 세계에서 선구자로 성공한 학자가 아닐까.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