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고위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 장관(오른쪽 세번째)과 북측 수석대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왼쪽 세번째)을 비롯한 남북 대표단이 15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남북고위급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남북고위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 장관(오른쪽 세번째)과 북측 수석대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왼쪽 세번째)을 비롯한 남북 대표단이 15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남북고위급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보건의료협력 사업, 민간도 참여할 듯

[천지일보=손성환 기자] 2008년 이후 중단된 대북 보건의료 지원사업이 10년만에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15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고위급회담을 열고 “남과 북은 전염성 질병의 유입 및 확산방지를 위한 남북보건의료 분과회담을 10월 하순경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진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양측은 “우선 전염성 질병 공동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논의를 개시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남북 보건의료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며 “‘한반도 건강공동체’구현에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대북 보건의료 지원은 2007년 노무현 정부 시절 ‘10·4 정상선언’을 계기로 활발하게 추진됐다. 하지만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 발생 이후 이명박 정부가 ‘5·24 조치’로 대북 제재에 나서면서 지원이 중단됐다.

이번 남북 간 보건의료 교류는 공동대처가 시급한 방역을 필두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 인적교류 활성화와 철도, 도로 연결 등 사회기반시설 건설에 있어 전염병 관리는 필수 조건이지만 현재 북한은 방역체계 붕괴와 백신 부족으로 신종 전염성 발생 우려에도 사실상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5월 “향후 남북 간에 인적교류가 활발해지면 남한의 감염병이 북한에 갈 수도 있고 거꾸로 북한의 감염병이 남한에 전파될 수 있다”면서 “특히 휴전선 근방에서 발생하고 있는 말라리아는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감염병 중 하나”라고 말하기도 했다.

북한은 말라리아뿐 아니라 결핵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2015년 북한의 인구 10만명당 결핵 유병률은 561명에 달했다. 

이러한 가운데 보건의료협력 사업은 민간에서도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담에 남측 수석대표로 나선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많은 민간단체가 보건의료협력 사업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남북보건의료 분과회의는 당국 간 회담으로 시작하고, 민간을 어떻게 참여시킬지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