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지헌 기자]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시행 첫날인 26일 서울 KB국민은행 여의도본점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DSR은 대출심사과정에서 기존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합산, 연 소득과 비교해 대출한도를 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합산하는 대출은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자동차할부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을 말한다. ⓒ천지일보 2018.3.26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시행 첫날인 지난 3월 26일 서울 KB국민은행 여의도본점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천지일보

가계부채, 국내총생산과 맞먹는 규모

지난해부터 각종 대책에도 증가세 지속

규제 피해 신용·사업자·전세 대출 증가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지난 3월 말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로, 가계부채 규모가 국내 경제규모와 거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2.3%p 상승해 중국(3.7%p), 홍콩(3.5%p)에 이어 증가율 세계 3위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대출규제 강화 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지만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말 기준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에 이어 세계 7위다. 2014년 1분기(81.9%)에는 12위였지만 4년간 13.3%p, 5계단 상승했다.

소득 대비해서도 가계부채는 빠르게 늘어 1분기 가계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은 역대 최고 수준이다. BIS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12.2로, 2011년 말과 같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한국은행은 가계부채 규모가 처분가능소득의 약 1.6배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주요 대책이 발표되고 난 이후에도 계속해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세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9월말 이후 6개월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p 올랐다. 홍콩(1.7%p), 호주(1.4%p), 중국(1.3%p)에 이어 4위였고 올해 1분기에도 0.4%p 상승하며 중국(0.9%p), 스위스(0.6%p), 호주(0.5%p) 다음이었다.

정부는 지난해 6.19 대책, 8.2 대책 등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고 대출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방안을 내놨고 10월에는 2018년 신 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조기 도입 등의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11월에는 기준금리도 올랐다.

이런 대책에도 가계부채가 급증하는 데에는 주택담보대출 대신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 배경으로 꼽힌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