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계 재구축에 나섰다.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 ⓒ천지일보(뉴스천지)DB

美 국무·국방부 아태 차관보 인선 서두를 듯

[천지일보=이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특사로 홍석현 전 중앙일보 회장을 내정하고 한미 관계 재구축에 시동을 걸었다. 미국 정부도 한국에 대표단을 파견하도록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1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입장에서 한국의 대통령 탄핵 이후 한미 동맹 관계가 소원해지고 북한의 잇단 핵 도발 위협 등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을 조속히 만나 한반도 정책을 조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표단 구성과 규모는 미국 정부가 시스템과 관례를 중시하기 때문에 과거 사례를 따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졌다.

이에 과거에는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단장으로 해서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등 3~4명 규모의 압축적인 대표단이 우리나라 대통령 당선인들을 방문해왔다.

역대 대통령 당선 때를 보면 노무현 대통령 당선인 시절인 2003년 1월에는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이 방한했고, 이명박 당선인 시절인 2008년 1월에는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단장으로 해서 한국을 방문했다.

박근혜 당선인 시절인 2013년 1월엔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단장으로 해서 대니얼 러셀 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마크 리퍼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의 대표단이 방한했다.

이번에도 과거 관례를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다만 단장을 맡아야 할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공석이고, 국방부 아태 담당 차관보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매슈 포틴저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방한이 확실시되는 인사로 지목됐다.

미국 정부가 한미 관계 조율의 시급성을 고려해 한반도 라인의 인선을 서두를 것으로 예상되면서도 한편으로는 대리인단을 보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국무부와 국방부의 한반도 관련 차관보의 인선이 늦어지면 포틴저 선임보좌관을 포함해 수전 손턴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부차관보) 등이 방한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