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초격차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기술협력 촉진 방안’ 보고서
예산·인력 제약 따른 원천기술 부족… 기술 무역수지 2001년 이후 적자 행진

우리나라 기술무역 추이(2008~2022년). (제공: 한국무역협회) ⓒ천지일보 2024.03.07.
우리나라 기술무역 추이(2008~2022년). (제공: 한국무역협회) ⓒ천지일보 2024.03.07.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우리나라는 예산 및 인력 제약 등에 따른 원천기술 부족으로 만성적인 기술 무역수지 적자가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의 질적 고도화와 초격차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나 홀로’ 기술개발을 넘어 전략적 글로벌 기술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7일 ‘초격차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기술협력 촉진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우리나라의 국가 총연구개발비는 명목 PPP(구매력 평가) 기준 1196억 달러로 미국의 7분의 1, 중국의 6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과학기술 연구 인력 부족 인원은 2019∼2023년 800명에서 2024∼2028년 4만 7000명으로 약 60배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22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술 무역수지 적자는 44억 달러를 기록, 2001년 통계작성 이후 적자를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우리나라는 미국·영국 등 주요국 대비 글로벌 기술협력이 부진한 상황이다. 글로벌 기술협력은 매출·수출 증대, 해외 우수특허 확보 등의 긍정적인 효과로 우리나라와 같이 기술 캐치업(Catch-up)이 필요한 국가의 산업 경쟁력 제고에 적합한 전략이다.

2020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분야 국외 협력 논문은 2만 7281건으로 미국의 8분의 1, 중국의 6분의 1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외 협력 논문의 비중(31.2%) 측면에서도 46개국 중 40위에 머물렀다.

국가별 총연구개발비 중 해외 재원의 비중 기준으로는 우리나라가 202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7.1%)을 밑돌며 36개국 중 34위(0.3%)로 최하위권이었다.

주요국 경제성장률 추이(5년 평균). (제공: 한국무역협회) ⓒ천지일보 2024.03.07.
주요국 경제성장률 추이(5년 평균). (제공: 한국무역협회) ⓒ천지일보 2024.03.07.

보고서는 글로벌 기술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 협력 거점 구축(Platform) ▲기술협력 친화적 제도 운영(Policy) ▲협력 대상국 전략적 선정(Partnership) 등 ‘3P 전략’을 제시했다.

국내에 ‘국제 선진기술 공동 개발 허브’를 구축 및 해외 우수 산학연을 유치하고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해 국내외 소프트파워가 모여 교류할 수 있는 자생적 기술협력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글로벌 기술협력에 친화적인 방향으로 범부처 통합 관리체제 구축, 글로벌 기술협력 현황 관련 통계 시스템 구축 등 제도 인프라를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글로벌 기술협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미국·일본 등 기술 선진국과 인도네시아 등 자원 보유 개발도상국 등으로 유형화해 협력 전략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지원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원은 “글로벌 기술협력은 상당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된다”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 간 신뢰 기반을 형성하고 정책적 일관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기술협력이 최적의 해법이라고 판단되는 분야만큼은 규제를 과감히 개선하고 협력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며 “우리나라가 기술협력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초격차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