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이건희 회장 ‘韓日 신뢰구축’ 의지 계승·발전
日 부품·소재 협력회사 8곳 경영진 승지원 초청
글로벌 경제위기·4차 산업혁명 등 상호협력 논의
李 “日과 협력, 삼성 초일류 기업 성장에 큰 힘”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3.06.01.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3.06.01.

[천지일보=김정필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의 뜻을 계승해 삼성과 협력하는 일본 부품·소재업계와의 모임을 직접 주재하며 양국 기업 간 신뢰·협력을 지속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주말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삼성그룹 영빈관 승지원(承志園)에서 삼성의 일본 내 협력회사 모임 ‘LJF(Lee Kunhee Japanese Friends)’ 정례 교류회를 주재했다.

LJF는 이건희 선대회장이 지난 1993년 신경영 선언과 함께 삼성전자와 일본 반도체·휴대전화·TV·가전 등 전자업계의 부품·소재 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을 제안해 시작됐다. 당시 이 선대회장은 “부품 경쟁력이 완제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므로 삼성이 잘 되려면 부품회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LJF 정례 교류회는 코로나 대확산 첫해인 2020년을 제외하고 지난 30년간 매년 열렸다.

이번 교류회에는 이 회장을 비롯해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노태문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 김우준 네트워크사업부장, 박용인 시스템LSI 사업부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최윤호 삼성SDI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 사장 등 관계사 경영진이 참석했다.

LJF에서는 TDK, 무라타 제작소, 알프스알파인 등 전자 부품·소재 분야 8개 협력사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 회장이 LJF 정례 교류회를 주재한 것은 회장 취임 이후 처음이다. 지난 2019년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열린 대면 교류회에서는 병석에 있던 이 선대회장을 대신해서 모임을 주재했다.

이 회장은 환영사에서 “삼성이 오늘날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 일본 부품·소재 업계와의 협력이 큰 힘이 됐다”며 “LJF 발족 이후 지난 30년 동안 LJF 회원사와 삼성 간 신뢰와 협력은 한일 관계 부침에도 조금도 흔들림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이 회장은 미래에도 LJF 회원사를 비롯한 일본 기업들과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삼성과 일본 업계가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더 큰 번영을 누리기 위해서는 ‘천 리 길을 함께 가는 소중한 벗’ 같은 신뢰·협력 관계를 앞으로도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과 LJF 회원사들은 전 세계적 경기 침체와 더불어 코로나 사태, 미국·중국 무역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이 연이어 겹치는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을 함께 극복하자고 다짐했다.

또 인공지능(AI)을 비롯한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선도해 글로벌 윈-윈(Win-win)을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 개척을 위한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자는 것도 공감대를 이뤘다.

승지원 교류회에 앞서 삼성과 LJF 회원사 경영진은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만나 삼성 주요 관계사의 미래 사업 전략을 공유하고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1박2일간의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도쿄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한일 비즈니스라운드 테이블에서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오른쪽)의 개회사를 듣고 있다. 2023.3.17 (출처: 연합뉴스)
1박2일간의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도쿄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한일 비즈니스라운드 테이블에서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오른쪽)의 개회사를 듣고 있다. 2023.3.17 (출처: 연합뉴스)

재계에서는 이 회장이 이번 교류회를 계기로 앞으로도 한국과 일본 양국 경제의 민간 가교로서 역할을 다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장은 과거 일본의 수출 규제 강화로 무역 분쟁이 본격화하자 LJF를 포함해 일본 재계 네트워크를 즉각 가동해 삼성과 우리나라 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무역 분쟁 조기 해소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무역분쟁은 2010년대 후반 양국 외교 갈등이 심화한 가운데 2019년 7월 일본 경제산업성이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의 한국 수출을 제한하면서 벌어졌다. 이 회장은 즉각 일본으로 출국해 LJF 회원사 경영진을 비롯한 현지 재계 인사들을 만나는 등 양국 경제계 협력 복원 여론 조성에 나섰다.

이듬해 9월에는 경색된 한일 관계에 코로나까지 겹쳐 양국 기업인 왕래가 제한되자 이 회장은 도미타 고지 당시 주한 일본대사를 만나 한국 기업인에 대한 무비자 입국 금지 조치를 해제해 달라고 건의하기도 했다. 이런 노력의 결과 한일 정부는 그해 10월 ‘기업인 특별입국절차’ 시행에 합의해 기업인들의 왕래는 7개월 만에 재개됐다.

이 회장은 올해 한일 무역분쟁이 공식 종결되기까지 여러 차례 비공식으로 일본을 찾아 현지 재계와 소통하며 분쟁 해결 과정에 힘을 보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 한일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 참석한 주요 그룹 총수들. 사진은 (오른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출처: 연합뉴스)
지난 3월 한일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 참석한 주요 그룹 총수들. 사진은 (오른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출처: 연합뉴스)

이 회장은 지난해 7월에도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게이단렌(經團連, 경제단체연합회) 도쿠라 마사카즈(스미토모화학 회장) 회장과 히가시와라 도시아키(히타치그룹 회장) 부회장을 연이어 만나 양국 재계 간 협력 회복 방안을 논의했다.

이런 노력은 올 3월 윤석열 대통령과 국내 5대 그룹(삼성·SK·현대차·LG·롯데)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한일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로 양국 경제계의 화합을 끌어내는 데 실마리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이 회장은 일본 게이오기주쿠대 경영대학원에서 유학했고 선대회장을 따라 젊은 시절부터 일본 재계 리더들과 인맥을 다져 왔다”며 “한일 양국 경제계를 이어주는 소중한 가교이자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민간 외교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