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고대 백제 가요 가운데 유일하게 남은 작품이 ‘정읍사’다. 한 여인이 행상으로 집을 나선 남편이 돌아오지 않자 언덕에 올라 기다리다 끝내 망부석이 됐다. 정읍사 가사를 보면 여인의 지아비에 대한 간절하고 절절한 사랑을 담고 있다.

지난 1970년 프랑스 민속음악 경연대회에서 우리나라 고전 관현음악 수제천이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이 음악을 듣고 세계 음악 평론가들은 감탄했다. 슬프면서 정돈돼 있고 장중하면서도 섬세한 수제천은 그야말로 신비한 음악이었다. 이들은 하늘이 내린 ‘천상의 음악’이라고 엄지척을 세웠다.

그런데 이 수제천은 본래 이름이 ‘빗가락 정읍’으로 ‘정읍사’에서 나오는 것이다. 왜 정읍에서 이 음악이 탄생된 것일까. 남편을 기다리다 애석하게 좌절한 한 여인의 아픔을 위로하고자 한 것일까.

고려시대 궁중에서 추던 ‘무고(舞鼓)’ 무용수들은 이 음악을 연주하며 창사(唱詞) 곡인 ‘정읍사’를 노래로 불렀다고 한다. ‘수명이 하늘처럼 영원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의 이 음악은 궁중의례와 잔치에 사용됐다.

효행 군주 세종대왕은 이 음악을 사랑해 세계 최초로 400명의 관현악단을 편성해 근정전에서 연주토록 했다. 상상만 해도 멋지고 훌륭하지 않은가. 조선 관현악단이 만들어진 것은 서양보다 200년이 앞선다고 한다.

수제천 연주에 등장하는 악기는 대금·소금·향피리·해금·아쟁·장구·좌고·박 등이다. 문득 부여 나성지 제사 유적에서 출토됐던 금동향로에 새겨진 조각상이 생각난다.

백제 유물 가운데 가장 찬란한 금동 향로는 백제왕이 제사 때 사용했던 성물로서 문화를 전수해준 남조 양나라 유물에도 없는 예술품이다. 양나라에는 박산향로들이 남아있지만 백제처럼 금동으로 만든 대형 향로는 없다.

향로에 부조된 백제 악사들이 연주하고 있는 악기들이 바로 수제천 음악에 나오는 것들이다. 백제시기에도 중요한 행사나 의식이 있었을 때 수제천이 연주 됐던 것인가.

수서(隋書) 권81 및 북사(北史) 권94, 구당서(舊唐書) 권29에는 백제 악기의 면모가 기록돼 있다. 고(鼓)·각(刻)·공후(箜후)·쟁(箏)·우(竽)·지(篪)·적(笛) 등 이상 일곱 가지와 도피피리(桃皮篳篥) 등이 연주됐다는 것이다. 이 같은 기록을 감안하면 백제의 음악은 상당한 수준에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정읍은 마한시기부터 고문화국이다. 백제 때는 ‘오방성(五方城)’의 하나로 중요시한 지역이었다. 넓은 들, 가까운 서해 바닷길은 이 지역의 고문화가 일찍부터 발전한 요인이다.

정읍시 영원면 은선리에는 백제 목탑양식을 닮은 장중한 석탑이 하나 있다. 보물 제167호로 지정된 이 삼층석탑은 제작 시대를 고려 초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 탑은 본래의 모양이 후대보수과정에서 일부 변형된 듯하다.

목조탑을 모방한 옥신과 옥개석, 정연한 치석과 체감미 등 이 석탑은 백제탑을 계승하려는 장인들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절터 주변에는 백제시기 전형적인 연질 유백색의 고 와편이 산재하고 있다. 이 유적이 백제 전성기에 향화가 올려졌던 것을 알려 준다.

혹 남편을 기다렸던 백제 여인이 이 사찰을 찾아 무사 귀환을 기원했는지도 모른다. 깨진 기와 조각이 그래서 더욱 정감이 간다.

정읍시는 정읍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천상의 음악’이 서울 세종로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연주돼 세계에 송출되는 상상을 해 본다. 백제 음악 정읍사는 이 시대 새로운 한류로 부상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