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남북이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이산가족 상봉과 함께 금강산 관광 재개 성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산가족은 그 어느 때보다 하루빨리 가족을 보고 싶다는 애절함을 표출하고 있다. 지난 2010년 11월 이후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이 매우 절실한 시점이다.

문제는 이산가족 상봉은 다른 정치적 사안과 독립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북한은 현재 이산가족 상봉을 금강산 관광 재개와 연결하려는 분위기가 강하다.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판문점 우리 측 지역이 아닌, 금강산에서 열자는 제안에서 이 같은 뜻을 읽을 수 있다. 그동안의 전례를 봤을 때 북한이 상봉의 대가로 식량과 비료·시멘트 등의 지원을 요구할 가능성 역시 크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은 시간을 다투는 사안이다. 통일부 이산가족 정보통합센터에 따르면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2만 8808명에 달한다. 이산가족 가운데 80.4%가 70세 이상의 고령자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를 놓고 남북은 최대한 신경전을 자제하고 한 발짝 양보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남북 이산가족의 아픔과 고통을 안다면, 상봉이 하루빨리 성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북한은 특히 금강산 관광 재개를 마냥 고집해선 안 된다. 이산가족 상봉을 통해 금강산 관광 재개의 길도 자연스럽게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욱이 금강산 관광 재개는 재발방지와 신변안전 보장 등의 선결과제가 남아 있다. 남북이 먼저 불신을 해소하고 신뢰를 쌓으면서 단계를 밟는 게 순서다.

북한은 또 한반도 정세에 긴장을 조성하는 일을 자제해야 한다. 신뢰를 쌓기 위해선 거기에 맞는 행동도 뒤따라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을지국무회의를 주재한 데 대해 20일 “공공연한 도발행위”라고 비난한 점은 유감이다. 남북이 대화 모드로 가운데 불필요한 긴장을 조성하는 언행은 득(得)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