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금융감독원장(왼쪽)과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신년회동을 마친후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왼쪽)과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신년회동을 마친후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새 정부 출범에 따라 고승범 금융위원장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사의를 밝혔다. 9개월이라는 짧은 재임 기간을 지냈지만 두 수장 모두 급증한 가계부채 문제를 성공적으로 대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취임한 고 위원장과 정 원장이 각각 지난 5일, 12일 사의를 밝혔다. 임기가 2년 넘게 남아 있지만 정권 교체기에는 임기를 채우지 않고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관례에 따라 사의를 전달한 것으로 분석된다.

고 위원장은 행시 28회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재무부, 금융위 등을 거치며 카드 대란 사태, 저축은행 사태 등을 경험했다. 이러한 금융 리스크를 경험한 영향으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시절부터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진행하기도 했다.

고 위원장이 취임했던 지난해 8월 유동성 팽창, 주택 가격 상승과 맞물려 가계부채가 1800조원에 육박했다. 당시 금융위원회는 가계대출 증가율을 연 5∼6%로 관리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도입했지만 이미 불어난 가계부채 증가세는 쉽사리 잡히지 않았다.

지난해 7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9.5%로 비슷한 추세를 유지한다면 가계대출 증가율이 연간 8~9% 수준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다.

이에 고 위원장은 가계대출 총량제를 통해 시중은행을 압박했다.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코로나19 이후 경제를 정상화할 수 있다는 소신에 따른 결정이었다.

같은해 10월에는 DSR 규제의 조기 시행 방안을 통해 제2금융권의 DSR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기도 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조이기와 금리 인상 압박 등이 적용되면서 가계 대출 증가세가 꺾이기 시작했다.

고 위원장과 행시 동기인 정 원장의 경우 재정경제부(옛 기재부) 금융정책과장,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관, 기재부 차관보, 금융위 부위원장 등을 거쳤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외교부 한미방위비분담 협상대표를 맡은 뒤 지난해 8월 제14대 금감원장으로 임명됐다.

정 원장은 전임인 윤석현 전 금감원장에 비해 시장친화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불확실성과 부담이 크다는 비판을 받아온 ‘종합검사’ 방식을 없애고 ‘정기·수시검사’로 개편했다. 또 금리 인상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되는 소위 퍼펙트 스톰에 대비해 대내외 리스크 상황점검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는 등 거시경제 리스크에 잘 대응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