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산성 성벽 흔적
저산성 성벽 흔적

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고구려 대성 ‘저산성’ 지명 고찰

저산성(猪山城)은 청풍면 도화리 저산(猪山)에 축조된 산성의 이름이다. 왜 저산성이라고 이름 했을까. ‘猪’는 돼지를 지칭한 것으로 북방민족인 부여, 고구려의 지배계급과 관련이 깊다.

순자 정론 방언에도 ‘猪’는 북연, 조선인들이 부른 돼지를 지칭한다고 기록되고 있다. 혹은 돈(豚)이나 체(彘), 혜(豨)라고 불렀다고 했다. (荀子·正論 方言 卷八:“猪,北燕朝鲜之間謂之豭;關東西或謂之彘, 或謂之豕;南楚谓之豨。其子, 或謂之豚,或谓之豯, 吳楊之間謂之猪子云云)

부여국은 왕 아래에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猪加), 구가(狗加) 등의 관직을 두었다. 중국의 진수(陳壽)가 쓴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의 부여 조>에 나오며 후에 법엽(范曄)의 <후한서(後漢書)>에서 그대로 따르고 있다. 고구려 왕조사회를 이끈 오부(五部)도 처음에는 부여 제도를 따랐다.

<삼국사기> 고구려 산상왕조에 재미난 기록이 있다. 왕은 자신을 왕위에 오르게 한 형수를 왕후로 삼았는데 걱정은 후사를 이을 아들이 없는 것이었다. 왕은 산천에 기도하였는데 천관(天官)이 왕자를 낳아 대를 잇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어느 날 국왕이 산천에 제사 지낼 때 제물로 쓰려던 돼지(彘)가 도망을 쳤다. 돼지는 주통촌(酒桶村, 지금의 주점가)이라는 마을로 들어갔고, 한 여인이 돼지를 잡아 관리들에게 바쳤다.

이 이야기를 들은 왕은 주통촌에 미행하여 그 여인과 정을 통한 뒤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 이름을 ‘교체(郊彘, 교외에서 얻은 돼지)’라고 했으며 교체는 훗날 동천왕(東川王)으로 등극했다. 고구려에서 돼지는 왕의 탄생을 점지해주는 신성한 설화의 주인공이 된 것이다.

청풍 저산성은 고구려 저부(猪部)의 군사조직이 내려와 진주했던 곳은 아닐까. 그렇다면 왕을 배출한 귀족 집단으로 중무장한 정예부대였을 것이다. 그리고 하부군사들은 고구려의 지배를 받았던 말갈 군사들이었을 것으로 상정되는 것이다. 2㎞에 달하는 석성이므로 대규모 군사조직이었던 것이 틀림없다.

저산성에서 바라본 청풍호
저산성에서 바라본 청풍호

저산성에 오르다

한국역사문화연구회와 글마루 취재반은 10월의 마지막 장을 넘기는 30일 저산성을 답사했다. 도화리를 전국 최고의 마을로 가꾸고 있는 정선욱(59) 이장의 안내를 받았다. 험준한 산성이었지만 도화동천으로 통하는 도로가 생겨 산성 위까지 쉽게 올라갈 수 있었다.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이 성은 몇 년 전 성곽 조사 전문가 김성호(63, 서울 서초구 방배1동)씨 등 제천 지역 5명의 향토학자들이 답사, 지방 신문에 제보함으로써 알려졌다. 그러나 발굴이나 전문학자들의 본격적인 조사는 하지 않아 성의 제원을 파악할 자료가 없다.

저산성은 현재 청풍문화재단지에서 동쪽으로 청풍대교를 건너 마주 보이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제천 청풍 망월산성과 청풍호 일대가 내려다보이며, 북동쪽으로는 제천시 청풍면 학현리와 견제산성이 바라다 보이는 요충지에 해당한다.

청풍호와 접한 해발 362.8 의 산봉우리로부터 남쪽으로 비교적 완만하게 뻗은 능선과 서남향 계곡 상부를 판축과 석축으로 둘러싼 테메식 산성이다. 둘레는 약 2㎞에 달하며 인근에 있는 삼국시대 석성 가운데 가장 크다. 강 건너 사열산성에서 바라 본 저산성은 단양 적성과 비슷한 모양새다.

이 성에 대해 <여지승람(輿地勝覽)>에는 ‘군 동쪽 5리에 있으며 석축’이라 하였고,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저성(猪城)이라 부르는 고성(古城)이 동쪽 5리에 터만 있다’고 하였다.

저산성의 동쪽으로는 학현천이 흘러 천연의 해자 역할을 하고 있다. 북쪽은 급경사면을 이루며 천연의 험차를 이용하였다. 일부는 삭토 한듯하며 군데군데 석축에 이용되었던 석재가 흩어져 있다. 성의 대부분은 삼국시대 전형적인 판축 형태를 보여준다. 남동쪽과 남쪽에 2개의 문지와 서벽의 북쪽에 망대지가 확인되고 있다.

사실 중국 지안의 고구려 성 유적에서도 토석축의 흔적은 흔히 볼 수 있다. 비교적 잘남은 성벽은 동쪽 사면과 남쪽 사면 구간이다. 자연적인 장방형의 석재를 다듬어 들여쌓기로 구축한 것이 확인된다. 이곳은 토사가 쌓여 발굴하면 기저부분의 확인이 가능하겠다.

문터는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남쪽에서 계곡을 타고 오른 곳과 남동쪽 능선을 타고 오른 곳에 각각 확인되고 있다. 망대지는 서벽의 북쪽 모서리 부분으로 추정되는데 청풍호와 제천 청풍 망월산성 등이 한눈에 들어온다. 남한강으로 내려오는 적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저산성 답사를 도와준 정 이장은 지난 2014년 서울에서 귀농, 도화리에 정착했다. 지난 2018년 농림축산부 주관 ‘제5회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에서 아름다운 농촌 만들기 캠페인분야 금상(1위)을 차지해 대통령상과 시상금 3000만 원을 받기도 했다. 학구적이며 도화리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다. 정 이장은 저산성을 안내한 후에 “둘레길 등을 조성,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 올 수 있는 곳으로 개발할 것을 제천시에 건의하겠다”고 했다.

‘도화동천제일강산’ 청정한 오색의 가을 도화리의 가을은 눈부시기까지 하다. 신선이 찾아와 놀다 간 곳인가. 이런 아름다운 선경이 또 어디 있을까. 마을 입구에 서 있는 조선 후기 사대부 유석기(劉錫基)가 지은 취적대 시비가 도화동천의 감흥을 더해 준다.

밝은 달 맑은 바람 피리 불던 돈대에

주인 없어 사람 오기 기다린 지 몇 년이던가

기암괴석에 좋은 말 새겨두니

이 영험한 구역이 구비 구비 열리는 구나

明月淸風吹笛臺

幾年無主對人來

奇巖奇石名言刻

爲是靈區曲曲開

- 崇禎三戊辰 白世 鎭稿 劉錫基 書

 

이 시비는 본래 도화동천 암벽에 각자되어 있는 것을 주민들이 모각하여 세운 것이다. 유석기는 조선 순조 2년 1808년에 이곳에 와 취적대 시를 새겼다. 끝 부분에 ‘백세진고(白世 鎭稿)’라는 글귀가 있다. 의역하면 ‘가진 것이 없이 삼가 글을 짓다’라는 겸손한 표현으로 해석된다.

무릉도원이나 도화동천이란 이름이 있는 곳은 대개는 절경이다. 옛 시인들이 이름을 붙인 것은 그만큼 이유가 있다. 제천 청풍에는 이렇듯 다른 지역에 비해 명승이 많고 곳곳에 문사들의 명필 수적이 남아있다. ‘취적대(吹笛臺), 와선대(臥仙臺)’라는 각자는 조선 숙종 대 암행어사였던 서파(西坡) 오도일(吳道一)의 글씨라고 한다. 한말 청풍부사 이계원(李啓遠)은 바위에 ‘도화동천제일강산(桃花洞天第一江山)’ 이란 여덟 글자를 새겨 놓았다.

답사반은 정 이장의 안내로 ‘도화동천길’의 만추 풍광을 돌아보았다. 경치도 경치려니와 옥수 같은 계류, 암벽에 각자한 명구, 곱게 물든 단풍은 ‘제일강산’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다.

고전 <심청전>에서 부친 심학규가 살던 곳도 도화동이었다. 서울 봉사 잔치에 참석하기 위해 평생 살아 온 고향을 떠나면서 부른 판소리 도화동 이별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찢어 놓는다. 심봉사와 뺑파(뺑덕 어멈)가 주고받는 소리는 도보로 가야만 했던 머나먼 서울 길의 한을 오롯이 전하고 있다. 현란한 홍색, 금색으로 갈아입은 만추 청풍 도화동천. 선경을 떠나 서울로 오는 취재반의 마음도 왠지 고향을 떠나는 듯 서운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도화리 입구
도화리 입구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