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관우 역사작가/칼럼니스트

정약용(丁若鏞)이 금정찰방(金井察訪)으로 좌천하는 계기가 된 을묘박해(乙卯迫害)의 전모(全貌)를 소개한다. 1794(정조 18)년 청나라 출신의 주문모(周文謨) 신부(神父)가 조선의 천주교 신자들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 의주 관문을 통과한 이후 낮에는 숨고 밤에는 걷기를 12일 동안 반복하다가 마침내 그 이듬해 정월 초에 서울에 도착했다.

이와 관련해 주문모 신부가 서울에 도착할 당시 천주교회(天主敎會) 교세(敎勢)는 전국적으로 신자수가 4천명에 이르렀다는 것인데, 주문모 신부는 계동에 위치한 최인길(崔仁吉)의 처소(處所)에서 몇 개월 동안 조선어를 배우고 성토요일에는 신자들에게 영세(領洗)를 주었으나, 고해성사(告解聖事)는 언어가 소통되지 않는 관계로 필담(筆談)으로 진행했다.

그해 4월 5일 주문모 신부의 집전으로 조선에서 최초로 부활대축일 미사성제가 거행되었으나, 그가 조선에 입국해 사목 활동(司牧活動)을 수행한 지 6개월이 되는 시점에 신변의 위협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구체적으로 어느 신자의 밀고로 인해 그동안 극비 정보였던 주문모 신부의 입국 사실과 그 처소가 조정(朝廷)에 알려지게 되고 체포령(逮捕令)이 내려지면서 박해(迫害)가 시작되었는데 이를 을묘박해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문모 신부가 당국에 체포되지 않고 강완숙(姜完淑)의 처소에 은신하는 과정에서 그에게 처소를 제공하였던 최인길과 주문모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윤유일(尹有一)과 지황(池璜)이 체포되었다.

덧붙이면 체포된 3인은 당국의 혹독한 고문을 받았으나 이에 굴복하지 않고 끝까지 주문모 신부의 소재를 밝히지 않았으며, 결국 장살(杖殺)의 처분을 받고 장렬히 순교(殉敎)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조정(朝廷)은 주문모 신부를 체포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이승훈(李承薰)을 예산으로 유배보냈으며, 이가환(李家煥)과 정약용을 각각 충주목사(忠州牧使)와 금정찰방으로 좌천시켰다.

1795(정조 19)년 윤2월 9일부터 2월 16일에 걸쳐서 8일 동안 조선(朝鮮)의 국왕(國王)이 수천 명의 수행원(隨行員)을 거느리고 한양 도성을 떠나 수원 화성행궁(華城行宮)에 머물렀는데 이러한 8일 동안의 일정을 기록으로 남긴 것이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이다. 이와 관련해 의궤(儀軌)란 왕실에서 거행된 여러 가지 행사의 전모를 기록한 서책(書冊)이라 할 수 있으며, 공식적인 권위(權威)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