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원 질병관리청 역학조사분석단장이 2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및 확진 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이상원 질병관리청 역학조사분석단장이 2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및 확진 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정부는 전 국민의 70%가 신종 코로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마치는 시점부터 소위 ‘위드(with) 코로나’로의 방역체계 전환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해 “절대적인 목표라기보다 중간에 달성해야 할 단계적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24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관련 질의에 “수학적으로 판단해볼 때, 국민의 70% 정도가 (1차) 접종을 완료하는 시점이 국내에서 사람 간 전파가 조금 줄고, 환자가 감소세로 전환될 수 있는 하나의 기전이 마련되는 때라고 본다”고 답했다.

이 단장은 “현재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감염을 예방하려면 좀 더 많은 면역력과 접종률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1차 접종률 70%는) 코로나19에 관한 많은 면역력이 형성돼 비교적 낮은 수준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유행을 차단할 수 있는 시작점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접종률 외에도 중증화율과 확진자 숫자, 사망자 숫자, 사회적 부담 등을 포함한 지표를 마련해 (위드코로나 전환 검토를) 판단할 예정”이라며 “관련 계획은 9월과 10월에 투명하게 논의해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위드 코로나는 확진자 억제보다는 위중증 환자 관리에 집중하는 방역 체계를 의미한다.

전날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해 “(국내 인구의) 70%가 (1차) 접종한 시점부터 고려할 수 있다”며 “9월 말 10월 초부터는 준비작업, 검토작업이 공개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코로나19 감염 후 장기 후유증을 앓고 있는 일명 ‘롱 코비드(long COVID)’ 사례와 관련해 국내에서도 별도의 사례 연구가 진행될 계획이다.

이 단장은 “롱 코비드는 코로나19에서 회복된 이후에도 상당 기간 증상이 남아 환자가 고통을 느끼는 현상으로 델타 변이 감염자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경과 관찰기관이 끝난 환자를 대상으로 관계기관과 의학적 분석의 일환으로 연구가 진행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