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 2021.3.15

[천지일보=박선아 기자] 우리나라 5.18 광주항쟁을 기리는 민중가요인 ‘임을 위한 행진곡’이 최근 미얀마, 태국, 홍콩에서 벌어진 민주주의 시위에서 불리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이들 시위가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닮아 있다고 보는 것인데요. 어떤 점인지 미 외교전문지 더 디플로맷의 보도를 바탕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시민들이 민주화를 위해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군부에 맞서 일어난 점

- 미얀마의 경우 2020년 11월 선거에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정당인 NLD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자 군부 측인 연합연대개발당이 선거가 조작됐다고 주장하며 쿠데타를 일으켰습니다.

- 1980년 5.18민주화운동 역시 전두환 신군부가 12.12쿠데타로 권력을 잡으면서 시작한 것이었죠.

<2>무력을 사용해 시위 진압

- 미얀마 군부는 33 경보병사단을 시위대 진압에 대거 동원했습니다. 양곤에서는 77 경보병사단이 목격됐는데 이들은 2007년 반정부 시위 당시 비무장 시위대를 잔혹하게 진압한 바 있습니다.

- 전두환 신군부 또한 80년 광주에 특수부대인 제3.7.11공수여단을 투입해 시위대에 대한 폭행과 고문을 일삼았습니다.

<3>젊은이들의 희생

- 톰 앤드루스 유엔 미얀마 특별 보고관은 앞서 목숨을 잃은 시위대 70명 중 절반 이상이 25세 이하 젊은이라고 밝혔습니다.

미얀마 역사에서 이번 사태가 처음은 아닙니다. 1962년 첫 쿠데타 이후 군이 2015년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정당인 NLD가 압승을 거두기 전까지 53년간 정권을 잡은 바 있습니다. 미얀마의 시위의 열기가 사그라들지 않는 데에는 이 같은 배경도 한몫합니다. 군부와 민주 정권을 모두 경험해 본 시민들은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이죠.

1980년 5.18은 타지역의 침묵과 신군부의 철저한 통제로 고립된 광주만의 싸움이었지만, 현재 미얀마 시위와 파업은 수도인 양곤과 만달레이 등 미얀마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또 시위대가 스마트폰 등으로 촬영한 영상이 SNS로 공유되며 국제사회에 미얀마의 현실을 호소하고 있죠.

41년 전 우리의 아픈 역사를 닮은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이 한국의 모델을 따를 수 있을지 주목이 되고 있습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