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역대 최장 장마와 폭우 피해로 농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사진은 지난 4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천지일보 2020.8.04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천지일보DB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생활물가를 결정하는 유가와 곡물값이 가파르게 뛰고 있다. 원유값 상승세에 전기요금 인상 압력은 커졌고 빵, 두부, 음료수 등 음식료품 가격도 들썩이며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국제유가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2.1%(1.23달러) 오른 59.47달러에 마감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는 16.2%나 올랐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세계적 대유행)에 유가가 배럴당 10달러까지 급락한 지난해 4월과 비교하면 6배나 급등했다.

유가 상승세와 함께 대두, 옥수수, 밀 등 곡물 가격 상승세는 더 가파르다. 대두 가격은 1부셸(27.2㎏)당 13.72달러로 1년 전(8.93달러)보다 53.7% 급등했고, 옥수수 가격은 5.39달러로 40.7%, 소맥(밀)은 6.37달러로 16.3%, 귀리는 3.51달러로 15.4% 올랐다. 재고가 전 세계적으로 1억8천만톤 쌓인 쌀만 4.5% 떨어졌다.

올라간 원자재·곡물값은 3주∼6개월의 시차를 두고 생활물가를 끌어올리게 된다. 국제유가가 오름세면 휘발유 가격은 3주가량 시차를 두고 뒤따라 올라간다. 전기요금도 연료비에 연동돼 인상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

곡물 가격이 음식료품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기까지는 보통 반년 정도가 걸리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가격이 꾸준히 올라간 탓에 이미 제품값을 올린 곳도 있다. 뚜레쥬르는 빵값을 약 9% 올렸고 파리바게뜨도 조만간 가격을 올릴 전망이다. 롯데칠성음료는 6년 만에 음료수 가격을 평균 7.0% 올렸고 두부(10%), 반찬 통조림(36%)도 오름세다. 곡물가격이 과자, 라면, 즉석식품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역시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최근 국제 원자재·곡물 시장에서 나타나는 가격 급등 현상은 유동성이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로 풀린 것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작년 초 코로나19 충격으로 유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터라 이에 따른 기저효과도 있다.

따라서 일부 원자재와 곡물값은 계속 오르더라도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급등세는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