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계양~부천대장 S-BRT. (제공: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1.1.18
인천계양~부천대장 S-BRT 사업 구간. (제공: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1.1.18

3기 신도시 입주 때 개통

부산, 기존 사업 확대 추진

광역·도심 BRT 사업비 보조

[천지일보=류지민 기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가 인천, 부천, 성남 등을 비롯해 부산, 창원, 세종, 대전 등 전국 7개 주요 도시에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구축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간선급행버스체계는 버스 운행에 철도 시스템의 장점을 도입해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을 도시철도 수준으로 향상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인천, 세종, 부산은 정류소 등의 시설과 전용 차량을 갖추고 운영하고 있다.

대광위에서는 지난해 1월 BRT 구축을 통한 시스템 확대를 위해 각 지자체로부터 S-BRT 사업 신청을 받았다. 사업 신청을 통해 인천계양~부천대장, 성남, 창원, 세종 등 5곳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했다. 또 부산에서 2개, 대전에서 1개의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먼저 3기 신도시가 들어서는 인천계양~부천대장지구는 부천종합운동장~김포공항역 16.7㎞ 구간에 S-BRT가 구축된다. 이 노선은 2026년 3기 신도시 입주계획에 맞춰 개통한다.

인천시는 인하대~루원시티사거리 9.4㎞ 구간에도 사업을 구축한다. 이 구간은 오는 2022년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업추진 절차를 거쳐 2026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성남시에는 남한산성 입구~복정역사거리 구간에 S-BRT를 구축한다. 경유지는 남한산성을 포함해 단대오거리, 모란역사거리, 복정역사거리다. 이중 단대오거리~모란역사거리를 우선 공사하고 올해 이후 개발계획 수립 등을 거쳐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

부산 BRT 사업 구간. (제공: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1.1.18
부산 BRT 사업 구간. (제공: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1.1.18

부산시는 사업 확대를 통해 버스 평균 통행 시간이 약 19% 단축됐으며, 통행속도는 23% 가량 빨라지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이에 부산시는 지난 2019년에 개통한 BRT 사업과 연계해 서면~사상, 서면~충무 2개 사업을 추가로 추진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BRT 이용자의 만족도가 72% 나왔으며, 사업 후 도로변 주정차 감소 등으로 통행속도가 상승한 승용차 이용자들은 52.6%가 BRT 개통에 만족한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개통한 사업에서 경험한 효과로 착공 중인 사업도 추진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2월 특례시로 지정된 창원시는 원이대로 일대 가음정사거리~도계광장~육호광장에 이르는 구간에 창원 S-BRT 사업을 구축했다.

같은 해 개발계획 고시를 시작으로 가음정사거리~도계광장을 잇는 9.3㎞ 구간을 우선 구축한다. 창원 S-BRT는 오는 2023년 개통할 계획이다.

세종시 BRT 고급화 사업 구간. (제공: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1.1.18
세종시 BRT 고급화 사업 구간. (제공: 국토교통부) ⓒ천지일보 2021.1.18

세종시는 순환 구간에 BRT 고급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내용으로는 첨단 BRT 정류장 설치, 최대 84인승 전기굴절버스 도입, BRT 우선 신호 도입 등이다. 이 사업을 통해 올해 3월부터 시험 운행 등을 통해 운행을 계시하고, 오는 2022년에 사업을 마무리한다.

대전시에서는 반석역~유성복합터미널 6.6㎞ 구간에 BRT 사업을 추진 중이며, 오는 2022년에 개통한다.

BRT 사업은 3기 신도시와 같이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시행한다. BRT는 사업시행자가 부담하며, 광역 BRT는 국가가 사업비의 50%를 보조한다. 그 외 도심 BRT 중 수도권 지역은 사업비의 25%, 비수도권 지역은 50%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최기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장은 “승용차와 BRT를 분리해 전용주행로를 설치하고 친환경 전기굴절버스 등 교통수단을 제공하면 대중교통 활성화와 함께 환경문제도 해결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BRT는 통행속도 및 정시성 확보 등 도시철도에 준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건설비는 지하철의 1/10 이하, 운영비는 1/7에 불과해 가성비 높은 대중교통수단”이라며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 주요 도시에 BRT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