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3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 청와대) 2018.12.14
지난 11월 30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을 갖고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 청와대) 2018.12.14

[천지일보=이솜 기자] 오는 11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대북 정책 일치에 초점을 두라고 제언했다.

북한 비핵화 과정을 두고 제기돼온 한국과 미국의 입장차를 해소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제임스 김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을 인용해 “이 시점에서 문 대통령이 설득해야 할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 아니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로버트 매닝 미 대서양위원회 안보전문 선임연구원은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한국과의 동맹을 확고히 하고 싶다는 게 미국의 관점”이라며 “미국은 북한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일치시키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FDD) 선임연구원도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의 힘을 재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이에서 중재자를 자처해온 문 대통령의 대북정책에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왔다. 마이클 오핸런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문 대통령은 유연해질 필요가 있고, 다른 전략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의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김 위원장의 생각뿐만 아니라 비핵화 협상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전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이 미국측에 대북제재 완화를 요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이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는 조언도 있었다. WSJ는 “한국과 미국은 북한의 핵포기를 설득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해 충돌해왔다”며 “미국을 향한 한국의 제재완화 요청이 한가지 난제”라고 평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는 WSJ에 “한국과 미국의 입장차는 상당히 좁혀졌다”며 “양측은 (북한 비핵화) 최종 목표에 합의했고, 이제는 행동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계획을 논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한편 WSJ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북미 정상회담 재개 가능성과 관련, 올리비아 이노스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연구원을 인용해 “비핵화나 인권에 대한 가시적 진전을 이루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