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2018.11.6
1683년 에스파냐 마드리드 이단심문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교황, 베드로를 1대로 절대 권력화

성경으로부터 점점 멀어진 가톨릭

‘마녀’ 개념 만들어내 공표한 교황

교회 쇠락할수록 ‘마녀사냥’ 극성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적극 중재로 교황 방북이 가시화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종단으로 꼽히는 천주교. 그러나 중세 천주교의 부패는 극에 달했고, 그 부패의 최정점에 교황이 있었다. 그들의 부패를 95개조 반박문에 써서 내걸면서 종교개혁이 일어났고, 오늘날 개신교의 모태가 됐다. 종교개혁 501년이 된 지금 천주교는 얼마나 개혁되고 변화했을까. 천주교의 과거와 현재, 천주교의 부패에 반발해 태동한 개신교의 탄생과정과 실태를 진단한다.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가톨릭 신부였던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프로테스탄트(개신교) 시대가 열렸다. 프로테스탄티즘은 로마 가톨릭을 부정했다. 이에 중세 로마 가톨릭은 종교적 절대권위를 지켜내기 위해 신이라는 이름으로 일체의 다른 사상을 거부하고 끊임없이 개신교를 탄압했다. ‘이단 심문’이라는 말로 행해졌던 종교재판은 더욱 강화 됐으며, 15세기 이후에는 ‘마녀사냥’이라는 명목으로 끝없는 살육이 자행됐다. 본지는 개신교가 가톨릭을 부정한 이유와 중세 로마 가톨릭의 실체를 짚어본다.

◆보수 개신교 측, 천주교 사실상 이단시

로마 가톨릭의 부패를 청산하기 위해 종교개혁의 불씨를 지피며 출현한 개신교는 로마 가톨릭을 사실상 이단시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보수 개신교 신학자들은 그 근거로 비성경적 가르침과 이교도적 행위를 꼽는다.

우선 천주교는 제1대 교황을 베드로로 정했다. 아울러 교황의 교시를 성경보다 높게 평가한다. 하지만 성경은 어디에서도 베드로가 제1대 교황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가톨릭은 자의로 교황제도를 만들어서 세상 권력은 물론 하나님이나 그리스도도 침범할 수 없는 최고 절대권위로 가르치고 있다.

또 천주교는 마리아를 신격화했다.

하나님과 사람 사이를 중보할 수 있는 분은 예수 그리스도가 유일하지만, 가톨릭은 여기에 은근슬쩍 마리아도 중보자적인 역할을 한다고 끼워 넣었다. 가톨릭에서 이뤄지고 있는 마리아 신격화는 현재 거의 완성된 단계라는 평가다.

‘성화 상(우상) 숭배 교리’ 관련해서도 성경에는 그리스도나 사도들 천사들이나 성인들의 성화나 성상이라는 것을 만들어 놓고 그 앞에 절을 하며 기도를 하라는 말씀은 찾아볼 수 없다. 천주교는 십계명 중 제2계명을 완전히 제거해 버리고 거침없이 무수한 우상들을 만들어 놓고 그 앞에 절하며 기도하고 있다.

천주교는 성경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졌다.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천주교는 회개는커녕 오히려 더욱 부패해져서 유전과 가경(1546년)을 성경에 포함시켰고 마리아의 무죄잉태설(1854년)과 교황무오설(1870년)을 새로 만들어 냈다. 20세기 들어서는 마리아를 은총의 중재자(1917년), 하나님의 어머니(1931년)라고 확정하고, 1950년에는 마리아 부활 승천설을 만들고, 1962년 제2차 바티칸회의에서는 마리아 종신 처녀설을 확정했다.

지난 8월 서울 중구에서 열린 ‘바른 신학, 바른 교리’를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 최태영 영남신학대학교 교수는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을 얻는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이어 “루터 종교개혁의 핵심은 ‘의인은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산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천주교는 여기에 선행·공로를 갖다 붙였다. 면죄부는 선행이 부족한 사람의 공로를 채워주기 위한 장치로 작용했다. 가톨릭의 구원관은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천주교가 제정한 많은 교리는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비성경적인 위조품으로 생산됐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천지일보 2018.11.6
화형대에 묶인 잔다르크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종교의 절대적 권위를 위해… ‘마녀’라는 희생양 필요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중세 유럽 사회를 휩쓸었다. 로마가톨릭은 종교의 절대적 힘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에 대한 일체의 도전과 모독을 반역의 중죄로 다스려야 했다. 이른바 ‘마녀사냥’이다. 로마가톨릭이 마녀사냥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5세기 들어서부터다. 마녀재판(witch trials)이라고도 한다. 16~17세기 종교개혁이 꽃을 피워가던 시기에 가톨릭뿐 아니라 개신교가 지배하던 지역에서도 폭넓게 마녀재판이 일어났다. 루터파의 독일 뿐 아니라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도 마녀사냥 강화령을 발표했다.

역사적으로 마녀재판은 12세기에 남프랑스에서 패악과 거짓으로 물든 로마 가톨릭 개혁 운동에 대한 탄압으로 출발했다.

본래 민중 사회에서 일어났던 마녀재판은 14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중반에 걸쳐 볼 수 있었으며 50만명에서 많게는 90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마녀 혹은 마법사라는 죄목으로 처형됐다.

1692년 미국 세일럼의 마녀재판이 거짓이라는 것이 재판한 사람들에 의해 실토되기까지 장장 500여년간 자행됐다.

마녀가 악의 화신이 된 건 도미니코 수도회의 영향이 컸다. 그들은 타락하고 부패한 교회를 질타하기 위해 예수와 대립된 존재로 마녀를 만들어냈다. 중세의 마녀재판은 1484년 교황이 긴급요청 회칙을 발표해 마녀가 있다고 한 데 이어, 1487년 도미니코 수도회 성직자 두명이 ‘마녀의 망치’라는 마녀사냥 지침서를 내면서 본격화됐다.

이후 마녀의 망치가 득세를 하게 되는 데 그 이면에는 정치적 이익을 위해 묵인하고 방조한 세속 권력과 교회가 도사리고 있었다. 다시 말하면 기나긴 십자군 전쟁의 패배로 혼란과 분열, 왕권에 대한 불만과 불신에 휩싸인 유럽 사회의 위기를 타개할 희생양이 필요했던 세속 권력, 그리고 종교 개혁의 열풍과 극심한 갈등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상대를 신앙의 적으로 몰아갈 필요성이 있었다.

무엇보다 마녀재판이 가장 극심했던 때는 가톨릭교회가 가장 약했을 때였고, 13세기 이후 시작된 자본과 화폐경제의 성장은 교회 중심의 중세적 질서를 무너뜨리고 있었다. 마녀재판은 권위 또는 권력의 공백이 발생했을 때 폭발할 수 있는 종교적 광기를 드러내는 사건이었다. 마녀라고 낙인이 찍히면 낙인을 찍는 자가 마음대로 살육했다. 이런 인간사냥은 무지한 자에 의한 것이 아니었으며 이름난 수도사, 신학자, 법학자 등 지식인들이 대거 가담했다. 완전히 발가벗겨진 여인이 산 채로 매달려 화형을 당하는 장면은 당시 최고의 관심거리였다. 잔다르크와 갈릴레이 등도 모두 이 과정에서 수난과 희생을 치렀다.

마녀재판은 신앙의 자유를 찾아온 미 청교도 사회에서도 자행됐다. 신대륙 식민지가 처한 어려운 현실, 청교도 사회의 완고한 배타성이 원인이 됐다.

15세기 유럽 사회에서 본격화됐던 마녀재판은 16, 17세기에 절정을 이루다 18세기 들어 계몽사상, 과학발전, 근대 사법체계의 확립으로 사라지기 시작했다.

오늘날 마녀사냥(witch hunt)이란 말은 희생양 찾기, 즉 특정 사람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는 것을 의미하게 됐다.

▶2편에 계속됩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