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0 국제기록문화전시회’에서 기록물을 바라보는 관람객들. ⓒ천지일보(뉴스천지)

업무기록, 제도적 정착화 절실

[천지일보=김지윤 기자] 미래 세대에 전통 기록물을 전하기 위해 주요 행정‧입법‧사법기관의 업무기록이 제도적으로 정착돼야 한다는 데 많은 국가들이 지지하고 나섰다. 각국 국가기록원 대표들이 기록의 중요성과 함께 기록유산 보존을 강조한 것.

1일 ‘2010 국제기록문화전시회 세미나’에서 한영우 이화여대 학술원 석좌교수는 “기록문화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화두를 던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1000년간 고려·조선왕조시대에 이뤄진 국가사업을 세세히 기록했다. 그 이전 시대에도 국가차원의 기록물이 있었으나 수많은 전란 속에 없어져 현재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처럼 유실된 자료가 많으나 우리나라 기록문화 전통은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우리 기록물은 동의보감을 비롯,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 등 총 7건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최대,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은 기록유산을 지닌 국가가 됐다. 아울러 최근 광주지역 교육계는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올릴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기록문화’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 교수는 우리나라 기록문화가 발달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치열한 교육열 ▲유교적 민본정치 ▲금속활자를 이용한 출판문화 활성화 ▲우수한 종이 생산 등을 꼽았다.

고려와 조선의 정치제도는 중국을 참고했으나 <실록> 편찬은 오히려 중국을 능가하는 업적을 이뤘다. 조선시대에 왕실이나 국가의 주요 행사내용을 적은 <의궤>는 중국에도 없는 조선왕조 독자의 기록문화다. 이처럼 기록문화 발달은 정치적 도덕성을 높였으며, 왕조 수명을 500년 이상 지속시키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실록>과 <의궤>를 보더라도 기록이 곧 역사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후손에게는 선조의 지혜와 얼을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루이스 벨라도 미국 국가기록청 수석자문은 “기록은 한 국가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다”며 “군사‧인구조사‧법원 등에 대한 기록내용과 사진을 통해 선조들의 생각과 정신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는 기록물을 보존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프랑스는 기록물 보관 체계를 중앙집권에서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바꿨다. 각 고장에 관련된 기록은 해당 지역이 중앙정부보다 자세히 알 것이라는 당국의 판단에서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록문화 유산을 국내는 물론 세계인에게 전달해 기록문화 가치를 공유해야 한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한 교수는 “최근 왕조시대 기록물을 번역하고 전산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며 “하지만 국가 예산 부족으로 사업이 지지부진한 것은 국가차원으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기록문화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는 국가의 주요 행정‧입법‧사법기관에 대한 업무기록이 제도적으로 정착돼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기록 수단을 활자에만 의존하지 말고 영상매체를 이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