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국제앰네스티)

[천지일보=강은영 기자] “브로커가 찾아 왔다. 어떤 때는 밤새 산을 넘기도 했다. 낮에는 안 되고 밤에만 움직일 수 있었다. 손전등도 쓸 수 없어 새카만 밤이었다. 한 발 앞도 안 보였다. 엄마 아빠 목소리를 한 번 들을 수만 있다면, 생사만이라도 확인할 수 있다면 죽어도 괜찮다는 생각밖에는 없었다.”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주최로 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통제된 사회, 단절된 삶: 북한 내 휴대전화 사용 및 외부세계 정보 제한 실태’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에서 탈북자 최지우씨는 한국에 거주하는 부모와의 전화통화를 위해 자신이 겪은 과정을 증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정부가 통신기술 사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북한 주민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국외로 탈출한 가족과 연락하다가 발각되는 경우 정치범수용소나 구금시설로 보내진다.

북한 주민은 가족과의 짧은 통화를 위해 가명을 사용하거나 산속으로 이동해 통화한다. 이는 신호 교란 장비를 피하고 보안원에게 전화사용을 발각당할 확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이다.

비싼 비용도 문제다. 통화주선에 관여하는 브로커는 미화 1000달러의 송금액을 기준으로 최소 30%의 수수료를 떼지만 북한 보위부 요원이 송금을 차단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므로 송금액이 수취인에게 도달할 것이라는 어떤 보장도 없는 상황이다.

아놀드 팡(Arnold Fang)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은 “북한 당국이 절대적·조직적 통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휴대전화로 해외 거주 가족에게 연락을 취하는 사람에게 보복을 가하고 있다”고며 “북한 주민들은 외부 정보에 접근할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 뿐 아니라 자신들의 인권이 부정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사무소장 니콜라스 베클란(Nicolas Bequelin)은 “시민을 통제하는 정부는 끔찍한 정부”라며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독립 인권과 인간의 자유를 복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앰네스티는 북한 정부가 표현의 자유에 대한 모든 부당한 제한을 철회하고 국가 내외부의 개인 간 간섭 없는 정보의 출입을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