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나라 꽃, 무궁화’

무궁화는 대한민국 애국가의 후렴(‘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에서도 나오듯이 한국을 대표하는 꽃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왜 무궁화가 우리 민족의 꽃으로 정해졌을까.

무궁화가 국화(國花)로 재정된 이유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허나 우리 민족의 정신을 가장 많이 닮았기에 한국의 꽃으로 선택받았을지도 모른다. 무궁화는 고조선 시대부터 반만 년 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 한 꽃이기 때문이다.

당나라의 정사를 기록한 <구당서(舊唐書)>에는 한반도를 ‘근화향(槿花鄕, 무궁화의 나라)’이라고 불렀고, 중국 선진(先秦)시대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해경(山海經)>은 ‘무궁화가 피고 지는 군자의 나라’로 지칭할 정도로 한반도에는 무궁화가 많이 자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상고시대를 재조명한 <단기고사(檀奇古史)>에는 무궁화를 ‘근수(槿樹, 무궁화 나무)’라 칭했고, 조선시대의 <규원사화(揆園史話)>에는 ‘훈화(薰華, 향기 나는 꽃)’로 표현하기도 했다.

그런 무궁화는 어떤 신성이 깃들어 있을까. 한국 상고사를 기술한 <환단고기(桓檀古記)>에는 ‘환화(桓花)’ ‘천지화(天指花, 하늘을 가리키는 꽃)’로 표현됐으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신단 둘레에 많이 심어져 신성시되기도 했다고 전한다.

실제로 무궁화는 다른 꽃에 비해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무궁화는 씨로도 번식되고 포기를 나누거나 꺾꽂이로도 번식이 가능하다. 또한 고온다습한 곳도 불사하고 어디서나 자생력이 뛰어나며 소금기가 있는 땅이나 공해지역조차 극복하는 굉장한 생명력을 자랑한다.

아울러 100일이라는 긴 기간 동안 꽃이 피기에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 꽃’이란 뜻을 지니기도 한다.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는 무궁화가 우리 겨레의 꽃으로 말할 수 있었던 것은 일제 강점기 때 대한민국의 국민 대다수가 한국인의 자주성과 정신을 무궁화에 이입하면서 한국의 꽃으로 의미가 확산된 것이 아닐까.

한편, 무궁화는 산해경에서 목근화(木槿花)라 칭했는데 세월이 흘러 ‘무궁화’로 불리게 됐으며 무궁화(無窮花)라는 뜻을 갖게 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