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과일 없어… 원하는 대로 올려”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 없어도 돼” 

설 차례상 모습. (제공: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천지일보DB
설 차례상 모습. (제공: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천지일보DB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오늘(9일)부터 설 명절이 시작됐다.

차례를 지내는 집에는 설 당일 전날부터 차례상에 올릴 음식 준비로 분주하다. 설날 차례(茶禮)는 정월 초하루 새해 첫 아침을 기념해 조상에게 예를 올리는 의식으로 아침에 차례를 지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성스럽게 만든 음식은 어떻게 올려야 할까. 설 상차림에 대해 알아본다.

◆설 차례는 조상에 ‘세배’

설 차례는 조상에게 세배한다는 의미가 있다. 해서 ‘정조다례’라고도 하고 떡국을 올렸다 해 ‘떡국차례’라고도 한다.

국립민속박물관에 따르면 상차림의 기본은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조율이시(棗栗梨枾, 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원칙을 따라 기제사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몇 가지 있다.

적(炙, 불에 굽거나 찐 것)은 고기와 생선 및 닭을 따로 담지 않고 한 접시에 담아 미리 올리며 제상은 방위와 관계없이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리며, 신위(神位, 조상의 영혼이 의지할 곳)를 모실 위치에 병풍을 치고 그 앞에 제상을 놓는다.

차례상은 대개 다섯 열로 음식을 놓는데 1열은 신위를 모신 맨 앞줄로 수저, 술잔, 흰고을떡, 떡국 등을 놓으며, 2열에는 전(煎)과 적(炙)을 올린다. 전은 대개 왼쪽부터 육적(구운 고기), 소전(두부 채소 부친 것), 어적(생선 구운 것)의 순서로 올리며 생선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한다.

3열은 탕(湯)을 2열과 같은 순서(육탕→소탕→어탕)로 놓으며, 4열에는 말린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 등이 올라온다. 좌포우혜에 따라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둔다. 5열에는 조율이시에 따라 과일을 올린다. 과일은 홍동백서(紅東白西, 제사상을 차릴 때 신위를 기준으로 붉은 과일 동쪽에 흰 과일 서쪽에 놓는 일)에 따라 올리거나 특별한 순서가 없다. 한과나 약과는 오른쪽에 올린다.

차례상에 금하는 음식도 있다. 갈치나 삼치처럼 ‘~치’로 끝나는 생선이나 이면수와 메기처럼 길고 비늘이 없는 생선은 귀신을 쫓는다고 알려져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복숭아와 같이 털 있는 과일도 금하며 떡의 경우 붉은 팥이 아닌 흰 고물이 있는 것으로 올린다. 고춧가루나 마늘 양념을 한 음식도 올리지 않는다.

◆간소해지는 차례상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성균관)는 지속적으로 차례를 간소히 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모시는 제사 음식과 형식을 대폭 간소화를 권고하는 내용이 담긴 ‘전통제례 보존 및 현대화 권고안’도 제시했다. 이 발표는 현대 사회의 특성 등을 고려해 제사 관습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에서 각자의 형편에 맞게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일반 가정의 부담을 덜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성균관은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종류는 정해진 것이 없으니 편하게 고르면 되고 힘들게 전을 부치지 않아도 된다고 제언했다.

성균관은 명절 스트레스 원인 중 하나로 꼽힌 차례상에 대해 ‘간소화’ 원칙을 강조하며 차례상에 올릴 음식으로 떡국, 나물, 구이, 김치, 술(잔), 과일 4종 등 9가지를 제시했다.

만드는 과정이 복잡한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며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은 인제 그만두셔도 된다”고 했다.

또한 과일의 종류는 정해진 것이 없으니 4~6가지로 편하게 놓으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홍동백서’ ‘조율이시’는 예법을 다룬 문헌에 없는 표현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