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천지일보DB
부산항. ⓒ천지일보DB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세계 교역 성장 속도가 구조적 문제로 장기·추세적으로 계속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8일 ‘팬데믹 이후 글로벌 성장·교역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21∼2023년 중 교역탄성치(세계 경제성장 대비 교역증가율)가 1.2로, 금융위기 당시(1.6)보다 낮았다고 밝혔다.

2023년의 경우 0.3에 그쳤다. 세계 교역이 전체 경제 성장 추이와 비교해 매우 부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분절화 심화 ▲통화 긴축 ▲서비스 중심 회복 등의 영향을 받았다.

미국·중국 무역 갈등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까지 겹쳐 글로벌 경제가 쪼개지는 분절화 현상이 심해진 데다, 세계적 통화 긴축과 2022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서비스 부문 중심의 경제 회복으로 상품 교역은 더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올해 역시 교역 신장률(3.5%, 2023년 10월 IMF 전망치)은 과거 장기 평균(2007∼2018년 3.8%)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대상국의 수입 수요가 작년보다 3.3% 늘어난 만큼 수출 개선과 경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한은은 글로벌 통화 긴축의 영향이 줄고, 미국 등 선진국의 첨단산업·친환경 투자 등의 수혜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세준 한은 조사총괄팀 차장은 “향후 중기 시계에서 세계 교역은 대체로 세계 성장률과 비슷하거나 다소 하회하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우리 경제 수출 경쟁력과 성장 경로는 분절화 위험, 기술혁신, 친환경 경제 이행 등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