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주거지 2기도 함께 발견돼
관청 등 중요 시설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

‘관(官)’명 백제 인장기와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3.11.28.
‘관(官)’명 백제 인장기와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3.11.28.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관청 흔적이 담긴 백제 기와와 주거지가 확인됐다.

28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나주 복암리유적에서 추진 중인 발굴조사를 통해 마한의 도랑(환호)시설을 확인한데 이어 이번에 백제 주거지 2기와 백제 인장기와 등을 추가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조사결과 나주 복암리유적은 기원전 2세기부터 마한의 초기 생활유적을 확인할 수 있는 도랑시설과 백제 목간 등이 확인된 바 있으며, 인근에는 사적인 나주 복암리 고분군과 금동신발이 출토된 정촌 고분 등 거대 고분이 위치하여 마한의 중심지 중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도랑시설은 고대 취락과 같이 중요 건축물이나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를 통해 도랑 내부공간의 건축물 등 시설물을 확인하고자 했으나 후대에 경작 등으로 사라져 시설은 따로 확인하지 못했다. 다만 조사지역에서 백제 주거지와 인장기와가 확인돼 마한에서 백제로 넘어가는 시점에서도 여전히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장기와는 백제 고도인 공주, 부여지역 외에도 지방에서는 고부(정읍)와 같은 오방성(五方城) 지역이나 여수, 순천 등의 신라 접경지역에서 확인된 바 있으나 마한 중심지역에서는 이번에 처음 확인돼 의미가 있다.

나주 복암리유적 9차 발굴조사 전경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3.11.28.
나주 복암리유적 9차 발굴조사 전경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3.11.28.

특히 이전 조사에서는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백제의 지방행정체계와 고위관직명을 알 수 있는 목간이 발견됐고 관아에서 사용됐음을 알 수 있는 ‘관내용(官內用)’과 이 지역 백제의 옛 지명인 두힐현의 존재를 알 수 있는 ‘두힐사(豆肹舍)’가 새겨진 백제 명문토기 등이 출토된 바 있었다.

이번에 새롭게 확인된 백제 기와에는 ‘관(官)’이 새겨진 인장이 선명하게 찍혀 있다. 더불어 복암리 일대 고려시대 행정지명인 회진현의 관아에서 사용됐음을 알 수 있는 ‘회진현관초(會津縣官草)’명이 새겨진 명문기와도 확인됨에 따라 마한에 이어 백제, 고려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동안 나주 복암리유적 일대에 관청 등 중요 시설이 자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마한·백제사 연구와 관련해 이번 조사에 이어서 조사·연구 성과를 고도화해 향후 사적 주변지역에 대한 보존관리를 위해 중장기 조사를 계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