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전경, 여의도 증권가 모습 (출처: 연합뉴스)
여의도 전경, 여의도 증권가 모습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차액결제거래(CFD) 사태로 인한 미수금으로 증권사들의 부실자산 증가 폭이 2배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업계의 대표적인 부실 위험인 해외 대체투자 손실의 경우 건전성 지표에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 증권사 법인 48곳의 고정이하 자산은 3조 7494억원으로 집계됐다.이는 직전 분기 대비 7096억원 늘어난 규모다.

고정과 회수의문, 추정손실 자산을 묶어 부르는 고정이하 자산은 증권사 내에서 부실자산으로 분류된다.

증권사 고정이하 자산은 작년 6월 말 2조 4401억원에서 9월 말 2조 2893억원, 12월 말 2조 6718억원, 올해 3월 말 3조 397억원 등으로 점차 늘었다.

고정이하 금액은 증권사별로 신한투자증권 6613억원, 메리츠증권 3413억원, NH투자증권 3059억원, 하나증권 2746억원, 삼성증권 2714억원, 한국투자증권 2614억원 등 순으로 집계됐다.

고정이하 자산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지난 4월 말 소시에테제네랄(SG) 증권발 하한가 사태가 발생한 데 영향을 받았다. 증권사들이 이에 따른 미수금을 인식한 것이다.

다만 실제 업계가 체감하는 부실 위험과는 동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부실 자산들은 대부분 펀드 형태로 투자되고 있으나 펀드를 통한 투자 손익은 건전성 지표에 제대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종속기업으로 처리되는 집합투자증권의 경우 원가법(취득할 때 지불한 금액으로 인식하는 방식) 평가를 받고 있어 최초의 장부가를 그대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이스신용평가도 이 같은 증권사 건전성 지표의 ‘착시현상’에 대해 우려한 바 있다.

나이스신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25개 증권사의 6월 말 기준 고정이하 여신(자산) 약 3조 7천억원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고정이하 여신은 1조2천억원에 불과했다. 다만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할 경우 6조원으로 증가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