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통령 첫 MIT 방문… “디지털·바이오 결합, 인류 패러다임 전환”
정부, 바이오 연구개발 등 ‘디지털 바이오 이니셔티브’ 수립해 내달 발표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 인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 인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을 찾아 디지털 바이오 석학들과 대담했다.

우리나라 대통령이 MIT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윤 대통령과 해외 석학과의 대담은 캐나다 토론토대(AI), 스위스 연방공대(양자)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이날 반도체 연구의 권위자인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대 학장이 대담을 진행했고, 모더나 공동창업자인 로버트 랭거 교수, 합성생물학 창시자 제임스 콜린스 교수, 컴퓨터 의공학 분야 권위자 디나 카타비 교수가 발제를 맡았다. 또 미 ‘젊은 과학기술자 대통령상’을 수상한 뇌 매핑 분야 정광훈 교수, MIT 한국인 최연소 박사인 윤송이 엔씨소프트 최고전략책임자(CSO),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등이 자리했다.

윤 대통령은 대담 모두발언에서 “워싱턴 일정을 마치자마자 보스턴에 온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다”며 “우리 동맹이라는 것이 국방 안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과학기술 협력이 동맹의 새로운 영역”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양 중세도시에서 유래한 ‘도시의 공기는 자유를 준다’는 문구를 언급하며 “정말 보스턴의 공기는 우리에게 자유를 주는 것 같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자유의 전당이라고 할 수 있는 보스턴이 창의와 혁신의 첨단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보스턴의 첨단과학기술, 바이오 사이언스, AI(인공지능), 이런 디지털 분야에서 어떤 것을 배우고 협력하고 시너지를 만들 수 있는지, 정치인인 제가 와서 눈으로 보는 것과 참모들에게 설명을 듣는 것의 차이가 클 것”이라며 방문 의미를 설명했다.

지난 2018년 겨울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으로서 보스턴을 방문했던 경험도 언급하며 농담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보스턴에서 유학했던 친구들에게 ‘이렇게 추운데 어떻게 공부했느냐’고 하니, 추워서 산소가 풍부하고 아침에 늦잠을 잘 수 없기에 공부하기엔 최적이라고 하더라”며 “정말 연구하기에 최적의 도시”라고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대담 직전 토머스 슐츠 MIT 생물학과 교수의 안내로 단백질 구조분석을 위한 첨단 연구시설인 ‘극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살펴보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첨단 현미경을 보고 이런 초저온에서 단백질을 얼려서 분석하는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또 많은 통찰을 얻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또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의 결합은 인류 삶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것”이라며 특히 코로나19 1년 만에 백신이 개발된 것은 디지털 바이오의 힘을 보여준 사례라고 강조했다고 대통령실이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 인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 참석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턴 인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MIT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 참석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이 자리에서 MIT 석학들은 디지털바이오 혁신의 글로벌 트렌드와 MIT의 성공 경험을 공유했다. 랭거 교수는 “기업들이 MIT에서 인력을 공급받고, MIT 졸업생은 기업의 지원을 받아 창업을 해 새로운 효과를 낸다”라며 보스턴이 세계 바이오 기술의 중심이 된 과정을 설명했다.

카타비 교수는 AI를 활용한 헬스케어에 대해 발표하며 “앞으로 헬스케어 산업은 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기존 질병 모니터링 장비 대신 무선 신호를 수집해 얻은 데이터를 AI로 분석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콜린스 교수는 AI를 활용한 항생제 개발 프로젝트를 설명했다.

또 첨단바이오 분야의 비약적 혁신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와 창의적·혁신적인 융합형 인재 양성 프로그램 등을 논의했다. MIT 석학들의 창업을 장려하는 제도와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의 산학연 협력 노하우 등도 논의했다. 두 나라 간 인력 교류와 공동연구 등 과학기술 협력 확대에 대한 기대도 비췄다.

정부는 이날 대담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바이오 연구개발과 융합 인력양성 등을 포함한 가칭 ‘디지털 바이오 이니셔티브’를 수립해 다음달에 발표할 계획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