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헌법재판소에 통합진보당 해산을 제소하고, 민주당이 다시 야외집회를 재개하는 등 국내 정치 상황이 어수선한 가운데 이웃나라에서는 자연재해가 발생해 피해가 막대하다. 때 아닌 철에 필리핀 중남부지역 6개주에 슈퍼태풍 ‘하이옌’이 내습했고, 필리핀 당국이 태풍 반경 600㎞ 이내 지역에 시간당 최대 30㎜의 폭우가 쏟아져 침수 및 홍수 피해에 노출될 것을 예상하여 그 지역 주민 약 170만 명을 대피시켰지만 현재까지 최소 1200명이 사망한 것으로 해외통신이 전하고 있다.

사전에 사고가 예측되는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 대책이나 인위적 재난 발생 우려 지역에 대한 당국의 치밀한 대비책과 수시 안전점검 등으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1천 명이 넘는 이번 필리핀 인명피해 사례를 보면 인간이 자연의 대재앙 앞에 얼마나 무기력한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유사 사례 중 하나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이기도 하다.

일본원자력재해대책본부는 지난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2년 동안 원전 방사능 오염수가 매일 300톤씩 바다로 흘러들었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1000여㎞ 떨어진 나카사키·구마모토 등 일본 서남부지역 해안에서 잡힌 수산물에서도 세슘 등 방사성물질이 검출된 것이 확인돼 대책 마련에 더욱 바빠지게 됐다.

이번에는 도쿄전력이 원전 2·3호기의 터빈 건물에서 바다로 이어지는 터널 안에 고여 있는 약 1만t의 오염수가 계속 바다로 흘러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터빈 건물과 접하는 부분을 얼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와 같이 원전사고 이후에 2년 9개월이 되도록 원전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김준동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은 7일 ‘제2차 국가 에너지 기본계획’ 공청회에서 정부가 연말까지는 2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는 향후 신규 원전 건설계획안도 들어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에 독일·스위스·이탈리아 등 나라에서는 기존 원전 폐쇄나 신규 원전 포기 정책을 채택한 입장에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추가로 건설할 원전계획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특히 입지 선정 문제는 국민 안전을 위한 중대한 문제다. 현재 정부가 예정지역으로 선정한 동해안의 영덕지역은 국내에서 지진발생 상습지역으로 확인되고 있다. 정부는 자연재난에 인위적 재난마저 겹쳐질 우려가 없도록 잘 판단해야 하겠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