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에서 조선 전기 궁궐에서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와 취두에 고정시키는 ‘검파(劍把)’가 추가로 발굴됐다. 29일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연수)에 따르면, 태안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를 조사하던 중 올해 5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 상단과 작년 6월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인 검파(劍把)가 출토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관계자들이 취두에 검파를 꽂는 시연을 하고 있는 모습. 취두(鷲頭)는 궁궐 등 왕실 관련 건축물 용마루 양쪽 끝에 설치하는 대형 장식기와다. 검파(劍把)는 취두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의 토제 장식품을 의미한다. 이번 5월에 발굴된 검파는 길이 40.5㎝, 폭 16㎝, 두께 7㎝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이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운문, 雲紋)가 표현돼 있고,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천지일보 2022.6.29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에서 조선 전기 궁궐에서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와 취두에 고정시키는 ‘검파(劍把)’가 추가로 발굴됐다. 29일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연수)에 따르면, 태안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를 조사하던 중 올해 5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 상단과 작년 6월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인 검파(劍把)가 출토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관계자들이 취두에 검파를 꽂는 시연을 하고 있는 모습. 취두(鷲頭)는 궁궐 등 왕실 관련 건축물 용마루 양쪽 끝에 설치하는 대형 장식기와다. 검파(劍把)는 취두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의 토제 장식품을 의미한다. 이번 5월에 발굴된 검파는 길이 40.5㎝, 폭 16㎝, 두께 7㎝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이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운문, 雲紋)가 표현돼 있고,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천지일보 2022.6.29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에서 조선 전기 궁궐에서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와 취두에 고정시키는 ‘검파(劍把)’가 추가로 발굴됐다. 29일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연수)에 따르면, 태안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를 조사하던 중 올해 5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 상단과 작년 6월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인 검파(劍把)가 출토됐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관계자들이 취두에 검파를 꽂는 시연을 하고 있는 모습. 취두(鷲頭)는 궁궐 등 왕실 관련 건축물 용마루 양쪽 끝에 설치하는 대형 장식기와다. 

검파(劍把)는 취두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의 토제 장식품을 의미한다. 이번 5월에 발굴된 검파는 길이 40.5㎝, 폭 16㎝, 두께 7㎝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이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운문, 雲紋)가 표현돼 있고,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