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caption

IT산업 관련 보고서 발간

최근 9년간 고용 비중 변화

서울에서 경기로 중심지 이동

경기 남·북부별 방안 제시

[천지일보 경기=류지민·이성애 기자] 경기도 내 테크노밸리들이 지방정부의 전략적 접근과 인내심 있는 투자가 필요하다는 연구원들의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테크노밸리, 수도권의 IT 기업지도를 바꾸다’ 보고서를 발간했다.

정보통신업(IT)은 경제성장을 이끌고 산업 공간을 변모시키는 역할을 해왔으며 IT 고용의 80%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IT산업 고용 비중을 봤을 때 수도권은 2010년 77.7%에서 2019년 80.3%로 늘어났다. 이 중 서울시는 2010년 63.4%에서 2019년 59.3%로 비중이 줄어든 반면 경기도는 2010년 13%에서 2019년 19.3% 비중이 증가했다.

최근 9년간 수도권 지역 IT산업 사업체 증가율을 살펴봤을 때 경기도의 연평균 증가율은 9.3%로 나왔다. 다음으로는 인천 8.6%, 서울 6.1% 순으로 IT산업 사업체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점유율에서도 서울과 경기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최근 9년간 서울 강남구의 점유율은 17.4%에서 12.9%로 크게 하락했다. 반면 새로운 IT산업 집적지로 형성되면서 큰 성장을 보이는 성남시 분당구는 고용점유율이 6.5%에서 13.3%로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최근 IT산업의 입지변화를 봤을 때 IT산업 중심이 서울시에서 경기도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보통신기업을 도내 더 많이 유치하려면 집적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집적지 형성에는 지방정부의 지식산업 입지 조성사업과 연관돼 있다. 집적지 형성 기간에는 지식산업센터 입지공급이 활발하다.

또 거래기업 간 거리가 가까운 집적지일수록 기존 기업들이 새로운 이전지를 선호한다. 중소기업형 집적지인 서울 송파구와 성동구의 경우 이전기업 절반 이상이 강남에서 이전했다. 이에 따라 강남구에 제1 거래기업을 둔 기업은 15% 이하에 불과하다. 연 매출 1000억원 이상 기업은 거래업체와의 평균 거리가 14.7㎞로 근거리에 소재한다.

수도권 IT 집적지가 대부분 강남으로부터 10~15㎞ 이내에 형성된 데 비해 경기도가 추진한 집적단지 조성지는 20~30㎞ 범위에 있어 거리감이 있다.

경기연구원은 현재 추진되는 테크노밸리나 3기 신도시 자족 용지 개발에 있어 정보통신업 등 지식서비스업 유치 및 집적지 형성에는 장기간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연구원들은 “경기도와 시·군 등 지방정부는 집적지 형성을 위해 기업 유치의 어려움 및 미분양 장기화 등을 이유로 자산개발업체 위주 공급책을 택하지 말고 전략적 접근과 인내심 있는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지역경제 고도화와 활성화에 필요한 글로벌 수준의 핵심 기업·기관 유치, 수요 맞춤형 입지공급 방안 마련, 판교~광교~동탄 및 인근 지역 중심 지식산업입지 공급 확대, 용인~화성지역을 중심으로 한 주력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정보통신업 융합 허브 역할 부여 등이다.

경기 북부지역의 경우 고양 테크노밸리의 영상기술, 양주 테크노밸리의 스마트 제조혁신 등을 핵심기술로 설정하고 관련 지원 인프라 구축 방안을 마련하는 방안도 있다.

문미성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경기도시공사(GH) 등은 태생적으로 적극적인 기업 유치 활동 실행이 어려운 조직인만큼 테크노밸리 소재 지방정부가 전략 업종·기업 유치 전략을 마련하고 이에 필요한 혁신지원시설을 조기에 구축해 집적지 발전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