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전기차 배터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니켈, 전년比 132.5% 급증

전기차·배터리 도미노 인상

고가에 소비자 선택폭 줄어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니켈 등 전기차 배터리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배터리 업계가 비상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배터리 업체의 생산량 감축 우려도 나와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생산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전기차 전환 속도가 늦어질 전망이다.

9일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대표적인 배터리 원자재 광물인 니켈의 톤(t)당 가격은 지난 7일 기준 4만 2995달러(약 5312만원)로 전년 대비 132.5% 폭등했다. 이는 지난달 평균 대비 77.8%, 전주 대비 57.7% 증가한 수치다. 전날과 비교하면 하루 만에 44.3% 상승했다.

니켈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전기차 배터리 등에 쓰이며, 러시아는 세계 수요의 약 10%를 공급해왔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 제재에 나서고, 러시아 역시 비우호국을 정해 제재에 나설 움직임을 보여 러시아산 원자재 공급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니켈 외에도 코발트, 구리, 알루미늄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코발트의 경우도 t당 가격이 7만 9000달러로 전년 대비 54%가량 올랐다. 구리는 1만 730달러, 알루미늄 3984달러 등으로 상승세다.

전기차와 배터리 업계는 원자재 가격에 민감하다. 배터리의 경우 생산 비용의 70~80%가 원자재 비용이기에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배터리 가격도 동반 상승한다. 이 배터리를 전기차에 탑재하면 배터리 가격 상승분에 따른 전기차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하다.

전 세계가 친환경 정책에 따라 전기차 시대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전기차 가격이 인상될 경우 소비자의 선택폭이 줄어들어 전기차 시대 전환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최근 미국 전기차 업체 리비안은 주요 모델의 가격을 20% 인상하는 계획을 발표했다가 고객들이 예약을 줄취소하는 등 거센 비판이 잇따르자 인상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주요 광물을 중국, 호주, 남미 등에서 수입하고 있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따른 당장의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면서도 최근의 니켈 가격 폭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로 원가가 비교적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도입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LFP 배터리는 중국 CATL이 주도하고 있으며 전기차 업체로는 테슬라, 벤츠 등이 LFP 배터리 채택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한국 배터리 업체들도 LFP 배터리 도입 속도를 높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