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28일 고양시 일산서구 법곳동 소재 한 구제역 매몰지. 당시 전국에 집중호우가 내려 고인 빗물에 비닐이 찢겨져 있었다. (천지일보 DB)

시민단체 “침출수 측정방법·기준·지역 검토 필요”

[천지일보=김예슬 기자] 9월 현재까지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수질 오염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정부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더 정밀한 조사기준과 대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약 5개월간 발생한 구제역으로 가축 347만 9962마리 정도가 매몰된 가운데 그동안 여름철 잦은 비 등으로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 수질 오염 등의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다.

환경부는 14일 구제역 매몰지역에 대한 2/4분기 지하수 수질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를 발표, 7917개소 중 2519개소에서 수질기준을 초과했으나 이는 축산폐수와 비료 및 퇴비 등에 의해 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 등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침출수의 영향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번 지하수 모니터링은 1분기와 동일하게 국립환경과학원, 지방환경청, 지자체에서 가축매몰지 주변
300m 이내 이용 중인 지하수 관정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조사는 1단계에 이어 암모니아성 질소, 염소이온, 질산성 질소 등이 고농도로 검출되거나 동반검출이 된 지점, 매몰지와 이격거리 등을 고려해 2단계 정밀조사가 진행됐다. 2단계 정밀조사에서는 아미노산(334개소) 및 mtDNA 방법(105개소)에 의해 정밀분석이 이뤄졌다.

환경부는 “침출수 피해는 없으나 축산폐수 등에 의해 음용기준을 초과한 지점은 지자체에 통보해 먹는 물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지하수 수질실태 및 침출수 영향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를 두고 침출수분석기법과 기준 및 조사지역 선정에 대한 문제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들 주장에 따르면 정부의 조사는 매몰지와 상당히 떨어진 지역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매몰지와 인접한 주변 지하수에 대한 조사가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국회 정무위원회소속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이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제출받은 ‘구제역 매몰지관측정’ 수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1099곳의 관측정 가운데 630곳(57.3%)에서 침출수 유출 의혹이 제기됐다. 이는 매몰지로부터 반경 5m안에 있는 지하수 관측정을 상대로 진행된 수질 검사 자료를 토대로 한 결과다. 또 앞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유승호 박사팀이 지난 3월 민원이 꾸준히 발생한 경기도 이천시 일대의 매몰지 주변 지하수를 분석, 오염 원인이 침출수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사)시민환경연구소 고도현 연구원은 “지하수에서 침출수가 이동할 수 있는 정도는 1년에 20~30m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매몰지와 인접한 곳에서 조사가 이뤄져야 하는 게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