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화폐 손상 이유 사례 (제공: 한국은행) ⓒ천지일보 2021.8.13
폐기화폐 손상 이유 사례 (제공: 한국은행) ⓒ천지일보 2021.8.1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올해 상반기 훼손·오염돼 한국은행이 공식 폐기한 지폐와 동전이 2억 2310만장에 달했다. 낱장씩 위로 쌓았을 때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8848m)의 11배에 이르는 규모다.

한은이 13일 공개한 ‘2021년 상반기 중 손상화폐 폐기·교환 실적’에 따르면 올 상반기 폐기된 손상화폐(지폐+주화, 장 단위로 통일)는 2억 2310만장이다. 액면가로는 1조 436억원어치를 폐기한 것이다.

한은은 금융기관으로부터 회수한 화폐를 사용 가능 여부로 분류하는 정사를 실시해 손상화폐 판정 시 폐기 처분한다. 폐기된 물량을 낱장으로 길게 위로 쌓으면 총 9만 4115m 높이로 에베레스트의 11배에 이른다. 가로로 이으면 총 4만 8883㎞로 경부고속도로(416㎞)를 59차례 왕복할 수 있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서비스업 부진이 이어지고 시중에서 쓰이는 현금이 줄며 1전 년 폐기규모인 3억 4570만장(2조 6923억원)보다 1억 2260만장(-35.5%) 감소했다.

올 상반기 폐기된 지폐(은행권)는 1억 7800만장(1조 390억원)으로 전년 동기(3억 3036만장, 2조6910억원) 대비 36.0% 줄었다. 권종별로 ▲1000원권(8410만장, 47.2%) ▲1만원권(7990만장, 44.9%) ▲5000원권(1210만장, 6.8%) ▲5만원권(190만장, 1.1%) 순이다.

같은 기간 폐기된 동전(주화)은 4510만장(4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534만장, 12억 7000만원) 대비 194.0% 증가했다. 화종별로 ▲100원화(3510만장, 77.9%) ▲10원화(590만장, 13.1%) ▲50원화(240만장, 5.2%) ▲500원화(170만장, 3.8%) 순으로 집계됐다.

화폐 손상 이유는 습기에 의한 부패 등 부적절한 보관(4만 8500장, 13억 1000만원)이 가장 흔했다. 화재(2만 5400장, 5억 1000억원), 세탁 또는 세단기 투입 등 취급부주의(1만 2100장, 1억 9000만원)도 주요 원인이었다.

화재 등으로 은행권의 일부가 훼손돼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 남은 면적이 원래 크기의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액을 그대로 보상받을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남은 면적에 따라 교환을 인정받는 금액이 달라진다. 5분의 2 미만이면 아예 교환할 수 없다. 화폐 교환은 한은 본부와 전국 지역본부에서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한은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