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우울.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극단적 선택 심리부검 결과

‘행동경고’ 3개월 이내 보여

88.9%, 정신건강 문제 있어

[천지일보=이수정 기자] 지난 5년간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10명 중 9명은 사망 전 주변을 정리하거나 죽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는 등 ‘경고 신호’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복지부)와 중앙심리부검센터는 27일 ‘2020년 심리부검면담 결과보고회(온라인 개최)’를 통해 최근 5년(2015~2019년)간의 심리 부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심리 부검이란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유족의 진술과 기록을 통해 사망자의 심리 행동 양상 및 변화를 확인해 극단적 선택의 원인을 추정·검증하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다.

이번 발표에는 최근 5년간 극단적 선택자(566명)의 유족(683명)에 대한 심리 부검 면담을 시행한 결과가 담겼다. 심리 부검 대상은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경찰 등을 통해 의뢰했거나, 유족이 면담을 신청한 이들이다.

조사 결과 전체 극단적 선택자 566명 중 남성이 384명(67.8%), 여성 182명(32.2%)이었고, 연령별로는 30~50대 비율(67.1%)이 가장 높았다.

사망 전 고용상태로는 피고용인이 226명(39.9%)으로 가장 많았고, 실업자 137명(24.2%), 자영업자 98명(17.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사망 당시 혼자 거주하고 있던 극단적 선택자는 96명(17.0%)으로, 이 중 36명(37.5%)이 34세 이하 청년층이었다. 이는 34세 이하 극단적 선택자(160명)의 22.5%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극단적 선택자 566명 중 529명(93.5%)은 죽음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주변 정리, 수면 상태 변화 등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주변인이 인지한 경우는 119명(22.5%)에 불과했다.

극단적 선택 경고신호 유무 및 주변인의 인지. (제공: 보건복지부)
극단적 선택 경고신호 유무 및 주변인의 인지. (제공: 보건복지부)

전(全) 연령대에서 수면, 감정 상태 변화가 두드러졌고, 경고신호는 전반적으로 극단적 선택 3개월 이내의 사망 시점에 근접해 관찰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주변을 정리한다’는 행동적 경고신호는 91.2%가 사망 3개월 이내에 나타났다. 또 사망 전 1주일 이내에 이러한 경고신호를 보인 경우도 47.8%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신건강전문가의 구조화된 면담, 정신과 치료 이력 확인 등을 통해 극단적 선택 전 정신질환 문제를 추정한 결과, 88.9%가 정신건강 관련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 중 우울장애가 64.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그러나 정신질환으로 치료나 상담을 받은 자살사망자는 51.8%에 불과했고, 정신과 약물을 복용했던 경우는 46.6%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심리 부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극단적 선택에 이르는 길목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근거기반의 촘촘한 자살예방대책을 추진하겠다”며 “(또한) 갑작스러운 사별로 어려움을 겪는 자살 유족을 지원하기 위해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지원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망 전 3개월 이내 세부 경고신호가 관찰된 극단적 선택자 수(제공: 보건복지부)
사망 전 3개월 이내 세부 경고신호가 관찰된 극단적 선택자 수(제공: 보건복지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