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에 들어갈 연구단 수 미정
주민 불만 무마용 정치적 안배 우려 제기

[천지일보=임문식 기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한 곳에 두기로 하면서 과학벨트 분산배치라는 경우의 수 하나가 줄게 됐다. 하지만 본원에 들어갈 연구단의 수가 정해지지 않아 갈등의 여지가 남아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과학벨트위)는 지난 13일 2차회의를 갖고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한 곳의 거점에 둔다는 원칙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주요 핵심시설을 여러 지역에 나누는 극단적인 형태의 분산배치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과학벨트위의 이번 발표로 과학계와 충청권은 한시름 걱정을 덜게 됐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연구활동의 효율성 등의 면에서 과학벨트가 쪼개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충청권도 “분산배치는 과학벨트를 죽이는 일”이라며 거세게 반대해 왔다.

과학벨트위는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들어갈 연구단의 수는 미정으로 뒀다. 과학벨트위는 전체 50개 규모의 연구단에 대해 “연구원 내부는 물론 외부 대학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설치하되, 구체적 설립형태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논의 결과에 따라서 연구단이 ‘사이트 랩(Site-Lab)’의 형태로 전국에 얼마든지 분산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해 또 다른 분란의 씨앗이 되고 있다.

특히 과학계가 걱정하는 것은 효율성 극대화라는 원칙에 따라 연구단 배분이 결정되지 않고 정치적 입김에 따라 이뤄지는 상황이다. 과학벨트위가 두 개의 핵심 시설이 들어가지 않는 지역의 반발을 의식해 불만 무마용으로 연구단을 나눠줄 수도 있다는 우려다.

이에 대해 자유선진당 임영호 대변인은 “과학 기술인들은 연구소의 핵심인 연구단 가운데 일정 수준 이상이 본원에 모여 있지 않으면, 사실상 중이온가속기와 연계한 연구소 본원의 역할과 의미가 퇴색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그런데 지역민심을 달래기 위해 연구단을 거점지구가 아닌 타 지역으로 대거 내려 보내고, 또 예산과 지원을 과다하게 집중시킨다면 몸체는 쪼그라들고 팔다리만 비대한 기형적인 모습의 과학벨트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과학벨트위는 과열경쟁을 우려해 공모가 아닌 위원회의 평가로 입지를 결정하기로 했다. 4월 말부터 5월 중으로 입지를 평가해 5월 말에서 6월 초에 결정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절차는 ▲과학벨트위에서 기본원칙을 정한 뒤 과학벨트기획단에서 입지여건 조사·분석 ▲입지평가위원회에서 분석결과를 평가해 후보지를 5개로 압축 ▲과학벨트위 최종 선정 순으로 진행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