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적인 생활과 절식ㆍ금주ㆍ절주의 실천이 장수 이유”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우리나라에서는 종교인이 장수하고, 체육인·작가·언론인이 단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명 1위인 `종교인`과 꼴찌 직업군 간의 수명 차이는 무려 13년이나 됐다.

원광대 보건복지학부 김종인 교수팀은 1963년부터 2010년까지 48년간 언론에 난 3215명의 부음기사와 통계청의 사망통계자료 등을 바탕으로 국내 11개 직업군별 평균수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한국보건복지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보건과 복지’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직업을 ▲종교인(승려·신부·목사 등) ▲연예인(배우·탤런트·가수·영화감독) ▲정치인(국회의원·시도지사 등) ▲교수 ▲고위공직자(장관·차관·정부기관 관료 등) ▲기업인(기업 회장·임원 등) ▲예술인(도예·조각·서예·음악 등) ▲체육인(운동선수·코치·감독 등) ▲작가(소설가·시인·극작가 등) ▲언론인(기자·아나운서) ▲법조인(판사·변호사·검사등) 등 11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48년치 전체 직업별 평균수명은 종교인이 80세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정치인(75세), 교수(74세), 기업인(73세), 법조인(72세), 고위공직자(71세), 연예인·예술인(각 70세), 체육인·작가·언론인(각 67세)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최근 10년치(2001~2010년)만 놓고 보면 종교인의 평균수명이 82세로 가장 높았고 교수(79세), 정치인(79세), 법조인(78세), 기업인(77세), 고위공직자·예술인·작가(각 74세), 언론인(72세), 체육인(69세), 연예인(65세) 등으로 순위가 조금 바뀌었다.

최근 10년치 직업별 평균수명이 48년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아졌지만 유독 연예인은 90년대 75세에서 2000년대 65세로 평균수명이 더 짧아진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종교인이 장수하는 이유로 신체적으로 규칙적인 활동과 정신수양, 정신적으로 가족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적고 과욕이 없음, 사회적으로 절식, 금연, 금주의 실천, 상대적으로 환경오염이 적은 곳에서의 생활 등을 꼽았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