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 일본 거점'은 '임나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으로 변화

(도쿄=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확실히 기술한 교과서는 없어졌고, 지난번 검정에서 남아있던 '위안시설'이라는 말도 사라졌다"
일본 산케이신문이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를 분석한 31일자 기사에서 '위안부'라는 표현과 함께 '위안시설'이라는 말까지 없어졌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교과서 기술은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전 관방장관이 1993년 8월4일 "일본 관헌 등이 (위안부 모집에) 직접 가담했던 일도 있다"고 인정한 것을 계기로 1997년판 교과서에 전면적으로 등장했다.

1997년에 발족한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이나 산케이신문 등은 일본의 과거 조선.중국 침략 사실을 강조하는 교과서를 "자학사관에 입각해있다"고 비판했고, 대표적인 증거로 '위안부' 기술을 거론했다. 그만큼 일본군 위안부 동원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지우고 싶다는 뜻이기도 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현행(2006년판) 교과서 중에선 '종군위안부'라는 표현이 담긴 신문 기사를 사진으로 찍어 실은 니혼쇼세키(日本書籍)신사 교과서와 '전쟁시 위안시설에 보내진 여성'이라는 표현을 쓴 데이코쿠(帝國)서원 교과서가 남아있을 뿐이었다.

하지만 니혼쇼세키신사는 새역모 등의 집중 공격을 받아 지난해 검정 신청을 포기했고, 유일하게 남아있던 데이코쿠 서원마저 '위안시설'이라는 표현을 쓰기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일본측이 4세기 말 한반도 남부 지역에 진출해 가야 등을 지배했다고 주장해온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設)'과 관련해서도 변화가 있었다.

현행 교과서 중 후소샤(扶桑社.현재는 이쿠호샤)판과 지유샤(自由社)판이 "야마토(大和)조정은 반도 남부의 임나라는 지역에 거점을 뒀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지만, 검정 심사위원들이 "4세기 말의 임나(가야)의 상황에 대해 오해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해 결국 "이러한 정세 와중에 일본은 임나에 대해 영향력을 갖게 됐다"는 기술로 바뀐 것.

'임나 일본 거점'이라는 표현을 '임나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으로 바꾼 것은 지난해 제2기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에서 '임나일본부'라는 용어가 적절하지 않다고 의견을 모은 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부과학성 관계자는 "학문 상황이나 학설의 정착 정도라는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은 전했다.

이밖에 '강제 연행'이라는 단어가 사라진 대신 "조선인이나 중국인을 모아 일본 각지의 탄광.광산에 데려간 뒤 낮은 임금으로 힘든 노동을 강요했다"(데이코쿠서원)거나 "다수의 조선인이나 중국인이 의사에 반해 일본에 끌려와..가혹한 노동을 강요당했다"(도쿄서적)는 기술이 포함됐고, 1876년 강화도조약에 대한 이쿠호샤 교과서의 기술에 대해서는 "오해의 우려가 있다"는 검정의견에 따라 "이는 조선으로서는 불평등한 조약이었다"는 문장이 추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