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 체결 전후의 오존 구멍 크기. 파란색이 오존이다. (출처: NASA 홈페이지 캡처)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 체결 전후의 오존 구멍 크기. 파란색이 오존이다. (출처: NASA 홈페이지 캡처)

[천지일보=이솜 기자] 오존 파괴 물질이 줄면서 남반구의 제트기류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년간의 국제 공조로 이뤄낸 결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몬트리올 의정서 체결 이후 오존 구멍이 크게 줄었으며, 이로 인한 남반구 제트기류의 이상 남하 현상도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남반구 제트기류는 2000년경까지 10년에 위도 1도씩 남극을 향해 이동했으나, 최근 오존 구멍이 줄어들면서 남하 현상이 멈췄을뿐만 아니라 제자리를 찾아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987년 전 세계 200여개국 정부는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해 냉매와 압축가스 등 오존 파괴물질의 생산을 제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를 체결했다.

연구진은 이 의정서의 효과로 지난해 9월 촬영한 위성사진에서 오존 구멍의 연간 최고 크기가 1982년 이래 가장 작은 16.4㎢로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제트기류는 지표면 약 8∼11㎞ 위에서 부는 강한 바람으로 찬 공기와 더운 공기를 섞어 지구 온도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여름철 남반구의 기상 패턴과 해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오존에 구멍이 생기면 대기가 자외선을 흡수하지 못해 남반구의 기온이 떨어지고, 중위도에 머물던 제트기류는 점차 남극 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바네르지 교수는 “오존 회복과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 사이에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다”면서 “오존층이 완전히 회복되면 이산화탄소가 다시 제트기류를 남쪽으로 밀어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