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노벨 과학상 수상을 위해 정부가 소매를 걷어붙였다.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G20 국가 가운데 노벨과학상을 수상 못한 나라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6개국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을 차세대 성장동력이라고 하지만 충분한 지원이 없어 국력이 신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30대 젊은 과학자를 집중 지원키로 했다.

지난 20년간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137명을 분석한 결과 이 시기의 연구 성과가 기반이 돼 수상한 경우가 48.2%(66명)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정부는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난 뒤 5년에 주목했다. 학부는 대통령 과학장학금 등으로 지원이 되고, 석박사 역시 각 기업이나 연구소와 연계한 프로그램이 있지만 이 시기는 사각지대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지원 기간을 5년으로 정한 것은 이 기간 정도 인건비와 연구비를 지원하면 1개의 프로젝트를 마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 임용할지는 대학이나 연구소 재량에 맡기게 된다.

이렇게 유능한 과학자가 초기에 자리 잡는 데까지 지원함으로써 고급 인력이 사장되지 않고 노벨상 수상까지 이어지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기존에 하고 있는 대통령 과학장학생 제도와 연계해서 국가 인재를 양성할 것"이라면서 "고급 인재의 유출방지 및 해외에 있는 우리의 우수 인력도 유치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여성 과학자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9명 가운데 3명이 여성일 정도로 여성 과학자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추세지만 우리나라의 이공계 여성 박사 취업자의 36.3%가 비정규직일 만큼 열악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원 방식은 정규직 근무자 수의 규제가 엄격한 연구소나 대학 사정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근무시간을 정할 수 있도록 `파트타임 정규직' 제도를 도입하고, 우수한 인력은 전일제로 전환하는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