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수란 기자] 서울지역 가계부채가 7년간 90조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가계부채 진단과 정책방향’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 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울지역 가계부채는 예금취급기관 대출 기준으로 2010년 195조원에서 2017년 285조원으로 90조원 증가했다. 이 중 절반 이상(57.8%)인 52조원이 주택대출 증가분이었다.

보고서는 서울의 가계부채는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금리가 인상되면 타 지역보다 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의 경우 가계대출이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65.9%에서 2016년 74.1%로 8.2%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은 45.4%에서 55.3%로 9.9%포인트 증가해 서울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보고서는 “단순히 증가율 측면에서 비교하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가계부채 비중의 증가율은 서울이 낮아 보인다”면서 “하지만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으로 서울이 74.1%로, 전국(55.3%)보다 18.8%포인트 높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가계부채가 1% 증가하면 소득은 0.26% 감소하고 대출금리가 1% 증가하면 가계부채는 0.0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시 개별가구의 가계부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가계부채의 원금상환 및 이자납부가 가계에 부담이 된다는 응답이 63.0%를 차지했다. 부담이 없다는 응답은 11.3%, 보통은 26.0%에 그쳤다.

부채 비중을 살펴보면 담보대출이 41.0%로 가장 많고 신용대출이 23.6%였다.

보고서는 “서울시가 2012년 가계부채 위기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한 이후 6년간 종합대책이 없었다”며 “서울시는 부동산 등 거시적인 부문보다 한계가구와 영세자영업자 등의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에 대한 시민 홍보를 강화하고 25개구에 1개 이상의 센터가 설립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가계부채상담센터(부제)’의 운영도 고려해 봐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취약계층의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이들의 자립을 도와줄 수 있도록 일자리가 함께 제공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