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에 수출할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천지일보DB
부산항에 수출할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천지일보DB

6대 주력 산업 3약·2중·1강

세계 경기둔화·미중 분쟁 탓

자동차·철강·석유화학 ‘흐림’

전자·전기만 경기 호조 예상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전자업종을 제외한 주력 제조업의 어려움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한국 경제를 이끌었던 반도체마저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9년 산업전망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세미나에서는 주요 증권사 업종별 애널리스트가 반도체와 자동차·자동차부품, 조선·기계, 전자·전기, 철강, 석유화학 등 6개 주력 제조업과 건설업의 내년도 전망을 발표했다. 전경련은 내년 주력 제조업의 판도를 ‘3약 2중 1강’으로 예상했다.

업종별 판도는 3약(자동차·철강·석유화학), 2중(반도체·조선), 1강(전자)의 양상으로 예상했다. 전자업종을 제외한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업종의 업황이 부진하거나 불투명하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에 따른 관세부과와 수출물량 제한 가능성, 리콜 등 품질비용 증가추세, 중국시장 부진에 따른 장기 저성장 기조 지속 등으로 업황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SUV 흥행에 따른 신모델 출시, 세단 모델 생산라인 가동률 축소를 통한 재고 수준 안정화 등은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됐다.

철강은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과 감산정책,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촉발된 2016년부터의 철강경기 호황 사이클이 올해 일단락되면서 내년부터는 조정 국면이 예상된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 마무리, 감산 기대 저하 등이 주요 원인이다. 세계철강협회(WSA)는 2019년 철강소비 증가율을 올해 2.1%에서 0.7% 둔화된 1.4%로 전망하고 있다.

석유화학의 경우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북미 천연가스 기반 화학 설비 신증설 등 공급 증가 요인이 맞물리면서 업황이 악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정유 분야는 내년 하반기부터 선박용 연료유 규제인 ‘IMO 2020’ 시행으로 친환경 고부가 석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반도체의 경우 신규 스마트폰 출시, 리니지2M 등 고사양 모바일게임 출시 본격화, 프리미엄 노트북 수요 강세 등으로 D램 수급이 개선되지만 낸드플래시는 공급 과잉을 면치 못할 것으로 관측됐다.

조선업은 중국 조선업계 구조조정, ‘IMO 2020’ 환경규제로 친환경선으로의 선박 교체 발주 호재가 있지만, 글로벌 오일 메이저사들에 의해 증가되고 있는 해양생산설비 입찰을 2017년부터 중국, 싱가포르, 노르웨이 업체가 수주하면서 국내 조선사 경쟁력이 약화된 점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계 업종은 주요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의 인프라 투자에 대한 정책 발표가 없다면 하락이 예상된다.

전자·전기는 주력 제조업 중 유일하게 경기가 호조를 보일 전망이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 증가에 따른 판매가 인상 가능성, 테슬라 모델3을 중심으로 한 전기차 확산과 전장화 추세 확대, 배터리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건설 등 비제조업은 주택규제 때문에 2018년에서 2019년으로 이연된 신규 분양 증가, 분양가 상승 및 도급액 증가, 광역철도 등 SOC와 개성공단, 남북철도, 금강산관광등 남북경협 기대로 국내 관련 경기 전망이 밝다. 해외에서도 이란제재 재개에 따른 중동권 가스 공급 부족으로 관련 발주가 증가할 전망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